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북한 대구경조종방사포 발사...우리군도 구경 400mm급 천무II 개발?

군사잡지 천무 2 개발 중 보도
북한이 지난 7월 31일에 이어 지난 2일 또 다시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발사했다. 북한은 구경 300mm, 400mm 신형 대구경 방사포 시험을 한 것으로 보인다.대구경 방사포는 유사시 사거리가 길고 탄두중량이 커 우리군의 기지를 겨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군은 현재 이보다 구경이 작은 천무 다연장로켓을 배치하고 있는데 이보다 구경이 더 크고 사거리가 긴 천무2를 개발 중이라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북한의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타격후 화염이 치솟고 있다. 사진은 조선중앙TV갭쳐.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북한의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타격후 화염이 치솟고 있다. 사진은 조선중앙TV갭쳐.사진=뉴시스,

조선중앙방송은 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보도했다.

중앙방송은 "김정은 동지께서 8월 2일 새벽 새로 개발한 대구경조종방사포의 시험사격을 또다시 지도하셨다"고 전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사진 일부를 모자이크했지만, 궤도형 발사차량(TEL)과 발사관 6개로 추정할 수 있는 사진, 거대한 화염이 솟구치는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쏜 후 다음날 공개한 대구경조종방사포 사진을 놓고 한미 군 당국이 '사진조작설'까지 제기한 것을 의식한 듯 이번에는 핵심 제원과 비교적 선명한 사진을 공개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TEL은 궤도형이고, 발사관은 '2열 6개'로 추정됐다. 이는 중국의 400㎜급 방사포인 WS-2D 발사차량과 매우 흡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어떤 식으로든 중국 기술을 카피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탄두 폭발력도 커진 것으로 보이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거대한 화염이 솟구치는 모습이 담겼다. 300㎜ 방사포(KN-09) 시험 발사 당시 섬을 타격한 사진에도 화염과 연기가 치솟았는데 이번 사진에 나온 것보다는 작았다고 한다. 이는 대구경방사포탄의 폭발위력이 더 커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북한의 구경 300mm 방사포.사진=조선중앙통신이미지 확대보기
북한의 구경 300mm 방사포.사진=조선중앙통신


북한은 이번에 구경방사포를 발사하는 TEL의 전개 속도를 검증했음을 시사했다.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화력진지에 나가시여 포차(TEL)의 전투전개 시간을 측정하시며 대구경조종방사포체계의 운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료해하시고 감시소에서 시험 사격을 지도하시였다"고 전했다.포차의 전투전개 시간은 진지 속에 숨어 있던 TEL이 밖으로 나와 방사포를 쏘고 재빨리 진지 속으로 숨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한미 전폭기와 지대지 미사일 등으로부터 TEL을 보호하려면 이 시간을 단축해야만 한다.

천무 다연장로켓이미지 확대보기
천무 다연장로켓

개발된 300mm 장거리 방사포도 우리군에는 치명적인 위협인데 400mm 대구경조종방사포가 실전배치된다면 위협강도는 더욱더 높아질 전망이다. 우리군은 북한의 장사정포를 제압하기 위해 천무 다연장로켓을 배치하고 있다.

천무는 노후화된 구룡을 대체하고 미국제 MLRS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의 한국형 다연장 로켓 체계이다. 구경 130mm 탄은 물론, 227mm, 239mm 로켓탄을 발사할 수 있다. 사거리는 최대 80km에 이른다.그러나 북한의 300mm 방사포보다 구경이 작고 사거리가 짧다.

군사전문 잡지인 디펜스타임스는 7월호에서 "기존 군단 포병여단이 전술 수준의 대화력전을 담당한다면 지작사 예하 화력여단은 작전적 수준의 대화력전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KTSSM과 같은 전술미사일뿐 아니라 현재의 천무보다 장사정/대구경인 다연장 로켓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그래서 대두되는 것이 천무II"라고 소개했다.

천무Ⅱ는 기 전력화된 천무와는 별개의 체계로 지작사 차원의 대화력전 수행을 위한 다연장 로켓 체계로 이 잡지는 소개했다. 천무Ⅱ는 기존 천무보다 대구경인 400mm 구경, 200~400km 사거리에 무유도/위성(GPS)유도/관성유도 등 정밀도가 높고 다양한 탄종을 운용할 수 있는 체계로 제안중이라고 이 잡지는 전했다.

이 잡지는 "천무Ⅱ는 8×8 천무 차량에 400mm 대구경 로켓탄 포드 (2발) 발사대 플랫폼을 얹는 방안이 유력하다"면서 "확산탄과 정밀 유도탄, 지하침투/갱도 파괴탄, 활주로 파괴탄, 열압력탄, 정전탄(탄소섬유탄), 지뢰살포탄, 선전탄 등 다양한 탄종을 개발, 운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