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홈플러스 법정관리·롯데카드 해킹 ‘겹악재’…대주주 MBK ‘사면초가’

신평사, 롯데카드 신용도 모니터링…조달 비용 상승 우려
PEF 규제 강화 속 해킹사태…MBK 리스크관리 능력 도마 위
연이은 대형사고에 평판 추락…매각 협상력 약화 불가피
18일 서울 중구 태평부영빌딩에서 조좌진(가운데 왼쪽) 롯데카드 대표와 임원진이 최근 해킹피해 사태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18일 서울 중구 태평부영빌딩에서 조좌진(가운데 왼쪽) 롯데카드 대표와 임원진이 최근 해킹피해 사태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가 보유한 핵심 포트폴리오 기업들이 잇달아 위기를 맞으며 경영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특히 전체 IT 예산 중 정보보호 비중이 크게 줄어 사고가 발생한 만큼 롯데카드 고객이탈로 실적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홈플러스에 이어 이번에는 롯데카드에서 297만 명의 고객정보가 유출되는 초유의 보안사고가 잇따르면서 대주주인 MBK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에 이어 롯데카드의 잇단 경영 실패로 인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경영 부담 역시 가중되는 모양새다. MBK는 2019년 우리은행 컨소시엄과 함께 롯데카드를 1조3810억 원에 인수한 뒤 6년 만에 매각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홈플러스 회생에 이어 롯데카드마저 대형 사고에 휘말리자 매각 작업이 장기 표류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롯데카드는 MBK 인수 이후 정보 보안 관련 투자가 되레 축소된 사실이 알려지며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 조사 결과, 롯데카드 회원 중 약 28만 명은 카드 비밀번호와 CVC까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롯데카드의 무형 자산은 인수 당시 2173억 원에서 올해 상반기 1405억 원으로 감소했고, 전체 IT 예산 중 정보보호 비중도 2021년 12%에서 2023년 8%로 줄었다.

신용평가사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평사는 이번 해킹 사태 이후 롯데카드의 신용도를 모니터링 중이다. 현재 롯데카드의 신용등급은 ‘AA-(안정적)’로, 8개 전업 카드사 중 가장 낮다. 신한·국민·삼성·현대·BC카드는 ‘AA+’, 우리·하나카드는 ‘AA’다. 게다가 롯데카드는 이미 일부 신평사들이 설정한 신용등급 하향 변동 요인에 근접한 상태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조달금리가 올라가 자금조달 비용이 많아지는데,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채권 발행에 의존하는 만큼 조달 환경이 급격히 악화할 수 있다.

감독당국의 사모펀드 규제 강화 기조도 MBK에는 악재다. 금융감독원은 올해부터 MBK를 포함한 대형 PEF 운용사에 대한 현장검사를 확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롯데카드 해킹 사태까지 겹치며, 당국이 운용사 인수기업의 내부통제·리스크관리 능력 강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감독 강화가 현실화하면 MBK는 내부통제·준법감시·리스크관리 인력과 시스템 구축 등에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야 하고, 레버리지를 활용한 대형 인수합병(M&A)에도 제약이 불가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연이은 대형 사고로 MBK의 평판에도 치명타가 됐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매각가 하락은 물론 협상력 자체가 약화돼 장기 표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과 부실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동시에 달게 된 셈”이라면서 “MBK가 애초 계획한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매각가 조정이나 새로운 인수 후보군 확보 등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