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롯데손보發 자금경색 우려] ‘킥스 150%’ 미만 보험사 콜옵션 제한… 연내 3조2000억 만기 '초비상'

당국, 후순위채 등 조기상환 전제조건 ‘건전성’ 강조
내년 말까지 자본성증권 3조2천억 원 콜옵션 도래
콜옵션 지연 시 ‘평판 하락·비용 부담’ 감수해야
보험사 ‘조기상환’ 서두를 듯…유동성 관리 총력전
건전성이 미흡한 보험사의 경우 자본성증권에 대한 조기상환이 쉽지 않은 전망이다. 자료=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건전성이 미흡한 보험사의 경우 자본성증권에 대한 조기상환이 쉽지 않은 전망이다. 자료=연합뉴스
롯데손해보험의 후순위채 ‘콜옵션’(조기상환) 제동 여파가 자본관리 부담이 큰 보험사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롯데손보의 자본 적정성을 문제 삼아 후순위채 조기상환을 허용하지 않았다. 보험사들이 조기상환에 실패하면 평판 하락과 막대한 조달비용을 감수해야 한다. 새회계제도 도입 이후 보험사들의 자본관리 부담은 커지는 추세인데, 적정자본을 유지하려는 보험업계 움직임이 이전보다 거세질 것이란 분석이다.
11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콜옵션 행사 시기를 앞두고 보험사의 자본관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국기업평가 분석을 보면 내년 말까지 보험사에서 발행한 약 3조2000억 원 규모의 자본성증권 콜옵션 만기가 도래한다. 올해 연말까지만 하더라도 보험사들은 무려 9382억 원에 달하는 자본성증권에 대한 조기상환에 나서야 한다.

내년 말까지 보험사별로 보유한 콜옵션 물량은 DB손해보험 4990억 원, 교보생명 4700억 원, KB손해보험 3790억 원, 현대해상 3500억 원, 동양생명 3482억 원, 신한라이프 3000억 원, 미래에셋생명 3000억 원, 푸본현대생명 2145억 원, KB라이프 2000억 원, 메리츠화재 2100억 원, 흥국화재 1050억 원, 농협손해보험 1000억 원, 흥국생명 800억 원, IM라이프생명 500억 원, IBK연금보험 500억 원, 롯데손해보험 460억 원 등이다.

현행 보험업감독규정에 따르면 후순위채 등 자본성증권 상환 후 지급여력비율(K-ICS)이 150% 이상이거나 대체자본조달이 확정된 경우에만 조기상환을 허용하고 있다. 이들 보험사의 지난해 말 기준 K-ICS를 보면 KB라이프 263.1%, 메리츠화재 248.2%, IBK연금보험 234.3%, 교보생명 220.8%, 흥국생명 207%, 신한라이프 205.7%, DB손해보험 203.1%, NH농협손해보험 201.6%, 흥국화재 199.6%, 미래에셋생명 192.4%, IM라이프 190.3%, KB손해보험 186.4%, 푸본현대생명 157.3%, 현대해상 157%, 동양생명 155.5%, 롯데손해보험 154.6% 등이다.
다만 현재 기준으로 자본 적정성 미흡으로 인해 콜옵션 행사가 제한되는 보험사는 롯데손해보험 한 군데뿐이다. 롯데손보의 경우 올해 3월 말 기준치인 150%을 크게 밑돈 것으로 당국은 확인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다른 보험사에서도 콜옵션 뇌관이 언제든 부상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적정자본 확보에 실패할 경우 금융당국이 재차 조기상환 시도에 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기업평가 측은 보고서를 통해 “요건 미충족에 따른 금융당국 승인 거절로 조기상환이 지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자본성증권이 예정된 시점에 조기상환되려면 자금확보 및 유동성 관리뿐만 아니라 K-ICS비율 등 재무건전성의 안정적 관리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이 재각인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보험사들의 자본관리 환경은 현재 녹록지 않다. 재작년 회계제도 변화 이후 자본 적정성을 확보하는 데 애를 먹어 왔는데 올해 들어서도 건전성 규제가 더 강화하고 있다.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완료 시 조기상환을 위한 K-ICS 요건이 130%로 낮아지지만, K-ICS 등 산출기준은 더 까다로워졌다. 기본자본 K-ICS 도입으로 자본인정 비중이 달라지는 것 역시 변수다.

향후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투자수요 부진으로 목표로 했던 물량만큼 자본성증권을 발행하지 못하거나 더 높은 금리을 떠안야 할 수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롯데손보의 후순위채 조기상환 지연 사태가 ‘지난 2022년 흥국생명 사태’와 같은 시장 혼란으로 이어지진 않을 거라고 보고 있다. 콜옵션 지연 배경이 ‘당국의 미승인’이었던 만큼 스스로 조기상환을 포기했던 사례와는 다르게 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롯데손보는 운영자금을 통한 조기상환을 추진했으나 감독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한 상황”이라면서 “다른 보험사들도 평판 리스크를 고려해 자본성증권 조기상환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