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가맹점수수료 대안 없다”…대출 의존 높이는 카드사

신용판매 부문 ‘사실상 적자’…자동차할부도 마진 적어
‘카드론·현금서비스’, 본업 수익 제쳐…전체 31% 차지
전문가, “규제·비용 영향…올해 여신사업도 안 좋을 것”
가맹점수수료 인하 여파에 카드사들의 대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가맹점수수료 인하 여파에 카드사들의 대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올해 들어 카드사들의 대출 의존도가 더 높아질 거란 관측이다. 카드사들은 가맹점수수료 인하 이후 본업을 대체할 마땅한 수익원을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결제부문 수익은 사실상 적자나 마찬가지고, 자동차할부 역시 마진이 크지 않다.

남은 건 카드론 등 대출이다. 그간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움직임에도 카드론은 성장해왔다. 대출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마땅한 수익원이 없는 만큼, 비용절감과 함께 고신용자 중심의 카드론 영업이 확대할 거란 분석이다.

8일 여신업계 등에 따르면 카드사의 본업 수익인 가맹점수수료 수익은 지난 2018년 이후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다. 카드사 전체 수익원에서 가맹점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36%에 달했지만, 매년 꾸준히 하락해 현재 20%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작년 말 금융위원회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덜기 위해 또한번 수수료를 인하하면서 카드사들은 연간 3000억 원의 추가적인 손실이 불가피하다. 금융위는 당시 영세·중소가맹점에 대한 신용카드 수수료율을 연 매출 10억 원 이하 업장에는 0.1%포인트(p), 10억~30억 원 이하 중소가맹점에는 0.05%p 낮추기로 했다. 체크카드 수수료율도 모든 영세·중소가맹점에 대해 0.1%p 인하한 바 있다.
여신업계에서는 본업 경쟁력 약화로 인해 카드사의 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대출 의존도가 심화하고 있다고 우려한다. 그간 카드사들이 가맹점수수료 인하에 대응해 자동차할부나 신용평가업(CB) 등에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지만, 마땅히 수익원이 될만한 사업은 찾지 못했다.

카드론 잔액은 최대 20%에 달하는 이자에도 불구하고, 급전이 필요한 서민이 몰리면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 등 9개사의 카드론 잔액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42조5000억 원을 기록했다. 가맹점수수료는 더 이상 카드사의 본업 수익이라고 부르기 어렵다.

카드사의 수익 비중을 보면 작년 9월 말 기준 가맹점수수료 수익이 30%를 기록하고 있고, 카드론 26%, 할부 수수료 19%, 연회비 수익 8%, 현금서비스 5% 순이다. 본업에서 수익성을 보장받지 못하다 보니 대출 이자 수익과 함께 무이자 할부 축소와 연회비 인상 등을 통해 방어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KG이니시스에 따르면 현재 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 등 8개사는 6개월 이상 무이자할부 혜택을 중단했다. 여신업계 한 관계자는 “가맹점수수료 수익이 보장돼야 소비자 혜택이라고 할 수 있는, 무이자 할부나 알짜카드 단종을 방어할 수 있는데, 사실상 적자다 보니 모든 게 비용이다”면서 “그나마 수익을 낼 수 있는 게 대출인데 질적으로는 다소 떨어지더라도 마땅한 방도가 없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여신사업을 통한 성장도 이제는 한계라고 지적한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유지하고 있고, 조달비용과 대손부담 때문에 섣불리 늘리기도 쉽지 않을 거란 분석이다. 한국신용평가 측은 보고서를 통해 “경기침체로 소비가 줄면서 예년처럼 가맹점수수료의 양적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여신성 자산을 통해서도 조달비용과 부실 가능성을 고려했을 때 수익성 개선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