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주총회에서 나원균 동성제약 대표이사 및 원용민 사내이사 해임안은 요건 미충족으로 상정이 철회됐으며 브랜드리팩터링 측에서 자신감을 보였던 △이사 수 변경 △이사 해임 △감사 선임 등의 핵심 안건은 모두 특별결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부결됐다.
지난 7월 기준 동성제약의 지분 구조는 △브랜드리팩터링 11.16%, △나원균 대표이사 2.88%, △소액주주 77.65%로, 전체 주식의 4분의 3 이상이 소액주주에게 분포되어 있는 상황이다.
임시주주총회 결과는 소액주주들이 누구의 손을 들어주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지표가 됐다. 나 대표 해임 안건에 대한 표 대결에서는 △찬성 692만1464주(51.89%) △반대 641만7405주(48.11%)로, 과반수 찬성을 얻었으나 특별결의 요건인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및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을 충족하지 못해 부결됐다.
이는 단순한 수치상의 부결이 아니라 해임될 만큼의 불신은 없었다는 집단적 판단이 있었다고 동성제약은 설명했다.
특히 브랜드리팩터링이 최대주주임을 내세우며 조직적으로 진행한 해임 시도가 실패한 배경에는 '회사를 망가뜨리는 갈등보다, 경영 안정과 회생 성공이 우선'이라는 소액주주들의 선택이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소액주주들이 회사의 회생과 경영진의 책임 있는 복귀를 지지한 것"이라며 "대표이사 개인이 아닌, 기업과 주주 전체의 미래를 보고 판단해주신 데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사 해임, 감사 해임, 정관 변경 등 주요 안건들 또한 주주들의 판단 아래 상정 자체가 철회 또는 부결됐다.
또한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나 대표이사 및 원 전무 해임을 비롯한 정관 변경, 감사 해임 등 핵심 안건을 제출했으나 주총 당일 요건 미달을 이유로 철회, 출석 주주의 지지를 받지 못했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결과가 됐다고 동성제약은 평가했다.
이는 곧 자신들이 주장하던 '주주 대다수의 뜻'이 실재하지 않았음이 입증된 셈이다. 특히 브랜드리팩터링 측이 사외이사 후보로 올린 이양구 전 회장은 주총 직전 후보자 사퇴로 선임안이 상정조차 되지 못했다.
전직 회장 본인의 명분도 주주들의 신뢰도 확보하지 못했다는 방증으로 기존 경영에 대한 책임 회피와 일방적 주식 매각이 낳은 결과라고 업계 관계자는 지적했다.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임시주주총회 전 다수의 의결권을 확보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정작 위임장 검증 과정에서 심각한 실무 부실이 드러났다. 이날 의결권 위임장 주식 중 신분증 미식별 등으로 위조가 의심되는 사표가 20만 5810주, 중복위임장 등도 200만 6442주 확인되며 총 220만주 이상이 중복 또는 무효 처리됐다.
이는 단순한 실수 수준을 넘어, 최대 주주로서의 자격과 주총 실무 능력에 대한 근본적인 신뢰 부족을 보여주는 사례로 특히 정당한 주주들의 의결권 행사 기회를 왜곡할 수 있다.
나 대표는 "앞으로 회생법원의 기업회생 절차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경영개선계획 이행을 위한 경영정상화를 지속할 것"이라며 "법원 감독 하에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나 대표는"무엇보다 회사의 회생계획 인가와 단순한 거래재개를 넘어 주주가치를 재고할 목표로 흔들림 없는 리더십으로 회사를 이끌고 채권자, 거래처, 주주, 임직원 모든 이해관계자를 보호하겠다고"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임시주총 결과로 동성제약 이사회는 브랜드리팩터링 측 4인, 현 경영진 측 3인으로 구성됐다. 비록 과반은 확보하지 못했으나, 대표이사 및 주요 임원이 유지된 만큼 회사 중심축은 흔들리지 않았다. 회사는 앞으로도 영업재개, 글로벌 채널 확장, 회계 투명성 확보 등으로 회생 인가 및 거래재개 실현에 집중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