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파마 바이오 의약품 공장 인수 직후 매출 기대
협상 대상자 비공개…인수 완료 시점 오는 10월 예상
운영비용 최소화·빠른 수익 실현 투자비 단기간 회수
협상 대상자 비공개…인수 완료 시점 오는 10월 예상
운영비용 최소화·빠른 수익 실현 투자비 단기간 회수

서 회장은 29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시설은 대규모 원료의약품(DP)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 생산시설로 미국 내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년간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을 생산했던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인수하는 공장의 피인수 기업명을 포함한 상세 내용은 양측간 협의에 따라 오는 10월 초로 예상되는 본 계약이 체결될 때까지 비공개다.
다만 서 회장은 이번 공장 인수에 약 7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추가적으로 관세 정책에 따라 3000억 원에서 70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통해 공장 설비를 증설할 가능성을 열어뒀다. 해당 증설이 완료되면 인천 송도에서 가동 중인 2공장의 1.5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수에 필요한 금액은 자체 자금과 금융 기관 협조를 통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공장 인수 후 바로 매출이 나올 예정이라고 서 회장은 설명했다.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될 경우 셀트리온이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으며 피인수 회사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할 수 있다. 해당 독점 생산 규모만 해도 수천억 원에 달한다고 서 회장은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의 높은 인건비나 운영비를 해소하기 위해 원가 축소 시뮬레이션을 통해 운영 비용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영비용 최소화와 빠른 수익 실현으로 투자비용을 단기간내 회수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 회장은 "미국이라는 시장은 포기하기에는 너무 큰 시장이고 진입 장벽이 높지만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공장 인수를 통해 관세 리스크는 거의 해소됐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압박을 회피하고 싶다면 미국 내 공장을 건설하라고 기업들을 압박했다. 이에 글로벌 제약사들이 앞다투어 미국 내 공장을 인수하면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로 인한 관세 압박도 회피에 나서고 있는 추세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