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메타의 '팩트체크' 폐지, AI 시대 정보 신뢰성 위기 고조

팩트체크의 미래, 소셜미디어가 던진 도전과 새로운 길찾기
메타가 2016년부터 운영해온 팩트체크 프로그램을 중단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메타가 2016년부터 운영해온 팩트체크 프로그램을 중단한다. 사진=로이터


글로벌 소셜미디어의 정보 검증 체계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뉴요커는 메타가 2016년부터 운영해온 팩트체크 프로그램을 중단했다고 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대통령 탄핵 정국과 극심한 정치적 대립 속에서 허위정보 확산을 우려하는 한국 사회에도 중대한 시사점을 던진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주요 플랫폼들이 운영하는 팩트체크 시스템의 실효성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팩트체커들이 정치적으로 편향됐으며 신뢰 구축보다 파괴에 기여했다"고 밝히며 콘텐츠 조정팀의 텍사스 이전과 트럼프 측과 협력 방침을 공개했다. 이는 2022년 일론 머스크가 X에서 시작한 '커뮤니티 노트' 시스템과 비슷한 방향이다. 커뮤니티 노트는 이용자들이 직접 콘텐츠 진위 여부를 평가하고 토론하는 방식으로, 플랫폼의 직접 개입을 최소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소셜미디어 업계 전문가들은 메타의 이번 결정이 다른 플랫폼들에도 영향을 미쳐 이용자 참여형 검증 시스템이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러한 변화는 AI 생성 콘텐츠의 급증과 맞물려 디지털 정보 환경의 신뢰성을 크게 위협할 수 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의 발전으로 진위 구분이 어려운 콘텐츠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플랫폼의 팩트체크 기능 약화는 허위정보 확산을 가속화할 위험이 크다. 이에 유럽연합은 디지털서비스법(DSA)을 통해 플랫폼 사업자에게 허위정보 검증과 삭제 의무를 부과했으며, 일본과 한국 등 아시아 주요국도 정부 차원의 팩트체크 시스템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디지털 광고 시장도 근본적 변화가 불가피하다. 콘텐츠 규제 완화로 정치 광고와 논쟁적 광고가 늘어나면서 플랫폼의 광고 수익이 단기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검증되지 않은 정보와 허위 광고가 늘어날 경우 플랫폼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하는 주요 광고주들이 이탈할 위험이 커진다. 특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글로벌 투자 기준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정보 품질 관리와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하는 기업들은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
소셜미디어의 새로운 정보 검증 체계 구축도 시급한 과제다. 플랫폼 기업의 자율규제만으로는 폭증하는 허위정보를 걸러내기 어려우므로, 자연어 처리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AI 기반 자동 검증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AP통신, 로이터 같은 공신력 있는 언론사나 전문 팩트체크 기관의 역할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이용자들이 정보의 출처와 맥락을 꼼꼼히 살피고 비판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한국 디지털 생태계도 직접적 변화가 예상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세계적 흐름과 국내 규제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하며, 정치적 불안 속에 첨예한 갈등으로 정보 검증의 신뢰성 확보라는 과제도 남았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