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민선 8기 김보라호 안성시, 지속 가능한 도시 도약

민선8기 안성시는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이어지며 살고 싶은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사진=안성시이미지 확대보기
민선8기 안성시는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이어지며 살고 싶은 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사진=안성시
민선 8기 3주년을 맞은 안성시가 산업, 문화, 교통, 복지 등 도시 전반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달성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시는 ‘시민 중심·시민 이익’이라는 시정 슬로건 아래 도시 혁신과 정주 여건 개선을 추진하며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인구 증가세 속 젊은 도시로 변화…“살고 싶은 안성”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도 안성시 인구는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민선 8기 출범 직후인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약 8천 명이 증가해, 현재 인구는 20만 8,800여 명에 이르렀다.

특히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2천여 명 증가했으며, 30대 인구 증가율이 가장 높아 젊은 세대의 유입이 뚜렷하다. 같은 기간 약 2,400명의 출생아가 태어나며, 안성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반도체 특화단지·대기업 유치…첨단산업 도시 기반 구축


시는 산업 구조 고도화를 중심으로 지역경제의 체질을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 성과로는 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 유치가 꼽힌다. 오는 2027년 착공 예정인 동신일반산업단지는 1만6천 명 고용창출과 2조4천억 원의 생산유발효과가 기대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시는 이에 발맞춰 반도체 계약학과 운영, 인력양성센터 설립, 기업 맞춤형 지원사업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현대차 배터리 연구시설 유치, 기계·식품·자동차부품 등 제조업 성장도 두드러진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위한 이차보전금, 특례보증, 통근버스 지원도 확대되며, 전통시장 환경 개선과 특성화 사업 공모 등으로 골목상권에도 활력이 돌고 있다.

전국 유일 ‘이중 문화도시’ 선정…글로벌 교류 확산


문화·관광 분야도 질적 도약을 이루고 있다. 지난해 안성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문화도시’와 ‘2025 동아시아 문화도시’에 동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문화장인학교, 찾아가는 문화장, 문화교류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올해부터 본격화되며 3년간 최대 2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또 지난 4월 열린 동아시아 문화도시 개막식에서는 전통공연과 문화체험으로 중국·일본 대표단을 맞이하며 글로벌 문화도시로서의 이미지를 각인시켰다. 대표 축제인 남사당 바우덕이 축제는 지난해 56만 8천 명의 관람객을 유치하며 역대 최대 흥행을 기록했다. 고삼호수, 금광호수, 청룡호수 등을 활용한 호수 관광 개발과 생태탐방로, 전망대 등도 관광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교통은 더 편리하게…무상교통·광역망 확대


시는 시민의 교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해왔다. 신분당선 강남역과 연결되는 광역버스(4401·4402번)에 이어, 송파구 문정로데오거리까지 운행하는 4305번 버스가 올해 6월부터 운행을 시작하며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다.
전 시민 무상교통 정책도 단계적으로 확대돼 어르신·저소득층은 물론 아동·청소년까지 지원 범위를 넓혔다. 수요응답형 버스와 행복택시 등 농촌 지역 맞춤형 교통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안성~구리 고속도로 개통으로 수도권 접근성과 물류 효율도 개선됐고, 수도권내륙선과 평택부발선 착공을 위한 행정력도 집중되고 있다.

시민이 체감하는 복지 실현…생애주기별 인프라 확충


‘모두가 살고 싶은 도시’를 목표로 안성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공공산후조리원 유치,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야간진료 병원 확대 등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에 주력한 결과다. 청년층을 위한 전용공간 ‘청년톡톡’을 중심으로 주거·창업·자기계발 지원도 강화됐다.

어르신 복지는 일자리 확대, AI 건강관리, 이·미용·목욕비 지원, 천원식당 운영 등 실질적 지원에 초점을 맞췄으며, 전담 조직 신설로 대응력도 높였다. 정주 인프라 확충 측면에서도 행정복지센터를 비롯해 문화사료관, 미디어센터, 도서관, 체육센터, 반려견 공원 등 다방면의 생활시설을 구축하며 시민 삶의 질을 높였다.

김보라 안성시장은 “지난 3년은 안성의 구조를 전면 개편한 전환기였다”며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안성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우직하게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이형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uk1515@naver.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