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한국형 AI 앞세운 최태원 회장, 국제무대서 주도권 이끌 청사진 기대

퓨처 테크 포럼 AI, 국가 생태계 논의 공식 의제화…한국형 모델 국제무대 확산
반도체·데이터센터·에너지 아우르는 'AI 인프라 구상'…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 강조
'K테크 쇼케이스' 통해 데이터센터 솔루션 공개…SK 계열사 역량 총결집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글로벌이코노믹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가 인공지능(AI) 생태계 전략을 전 세계와 공유한다. 그는 APEC CEO 서밋 의장 자격으로 기조연설에 나서며 '한국형 AI'의 미래 청사진을 직접 제시할 전망이다. 기업 차원을 넘어 국가 전략을 대표하는 발언이자 한국 재계가 국제 무대에서 AI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SK그룹은 다음 달 28일 경북 경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퓨처 테크 포럼 AI'를 주관한다. APEC CEO 서밋의 공식 부대 행사로, 국내외 주요 기업 CEO와 정부 관계자, 학계 인사가 참여한다. 의제의 핵심은 '국가 AI 생태계'다.

한국 대통령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한국의 경험을 공유하고, 글로벌 전문가들이 회원국별 AI 전략과 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하지만 최대 관심사는 최 회장이 기조연설에서 제시할 아시아·태평양 AI 생태계 구상이다. 이는 한국형 모델을 글로벌 표준 논의로 끌어올리려는 첫 공개적 제안이 될 전망이다.

최 회장은 AI 생태계를 단순 기술 경쟁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로 규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데이터센터·통신·에너지까지 아우르는 인프라를 통해 각국이 공동 번영할 수 있는 전략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는 그가 꾸준히 제시해온 '사회적 가치' 철학과 연결되며, 기업 경영자에서 나아가 지역 전체의 미래 전략을 설계하는 조정자 역할로 확장된다. 재계에서는 이번 제안이 한국형 AI가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본다.

같은 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는 'K테크 쇼케이스'가 열린다. 한국 주요 기업들이 미래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로, SK그룹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공개한다.

SK하이닉스·SK텔레콤·SKC·SK엔무브 등 계열사가 참여해 반도체·냉각·운영·보안 등 전 과정을 통합 지원하는 솔루션을 마련했다. 그룹 역량을 하나로 결집한 프로젝트로, SK의 리더십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평가다.

SK그룹이 내세우는 '가치 창출형 AI'는 글로벌 빅테크 주도의 시장과는 차별화된 접근이다. AI를 단순 혁신이 아니라 산업과 사회 전반의 성장축으로 삼는 전략이다. 최 회장은 이를 APEC 무대에서 제시하면서 한국의 AI 전략을 아시아·태평양 공동 해법으로 확장하려 한다.
SK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가 AI 전략을 세계와 공유하고, SK가 반도체부터 에너지·서비스까지 축적해온 경험을 소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APEC CEO 서밋은 전통적으로 각국 정상과 재계 지도자가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는 AI가 핵심 의제로 떠오른 만큼 최 회장의 리더십이 더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 그의 발언은 기업 홍보 차원을 넘어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AI 주도권 경쟁의 핵심 플레이어임을 알리는 것으로 읽힌다.

이번 경주 포럼은 한국 재계 총수가 국제 무대에서 AI 패권 구도의 방향타를 직접 제시하는 장면이다. 최태원 회장의 리더십이 한국형 AI를 국제 규범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지 글로벌 산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