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여행금지령으로 19개국 출신 수천 명의 국제 유학생들이 미국에서 학업을 이어갈 길이 막혔다고 로스앤젤스타임스(LAT)가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 관광객이나 이민자만이 아니라 학생 비자(F-1, J-1) 발급에도 직접 적용돼 미국 대학에 합격한 유학생들조차 입국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고 LAT는 전했다.
LAT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지난해 5월부터 9월까지 이들 국가 국민에게 5700건이 넘는 유학·연구 비자를 발급했으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은 이란과 미얀마 출신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비자 심사를 지연시키고 추가 검증 절차를 강화하면서 상당수 학생들의 계획이 무산됐다.
◇ 아프간·미얀마 학생들 “꿈 무너져”
미얀마의 18세 학생 ‘구구’ 역시 남플로리다대 입학 허가를 받았으나 학생비자 발급이 막히며 미국행이 좌절됐다. 그는 “내전 속에서 공부할 기회를 잃었다”며 상실감을 드러냈다.
◇ 유럽으로 눈 돌리지만 난관
일부 학생들은 독일·폴란드 등 유럽으로 방향을 바꾸고 있지만 영어시험 만료, 선납 학비 부담 등 현실적 장벽에 부딪히고 있다. 이란 출신 연구자 ‘아미르’(28)는 펜실베이니아대 초청을 받았으나 입국하지 못하고 테헤란에 남아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열심히 준비해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사실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고 말했다.
◇ 12개국 전면 금지, 7개국 추가 제한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대학의 국제 학생 유치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미 일부 학교에서는 입학 취소와 연기 사태가 이어지고 있으며 유학생 수입에 의존해온 대학 재정에도 부정적 파장이 예상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