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연준, 트럼프 관세발 인플레 영향 두고 의견 갈려…일부는 조기 금리 인하 주장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 내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외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칠 영향을 두고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1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연준이 지난달 29~30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을 공개한 바에 따르면 일부 위원들은 “관세가 물가에 미칠 영향을 완전히 확인할 때까지 금리정책을 미루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선제적 대응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FT는 전했다.

◇ 금리 동결 속 일부 위원 ‘선제 인하’ 요구


연준은 올해 들어 기준금리를 4.25~4.50% 범위에서 동결해왔다. 그러나 이번 회의에서는 크리스토퍼 월러, 미셸 보우먼 이사 등 두 명의 위원이 0.25%포인트 금리 인하에 찬성해 올해 처음으로 내부에서 의견이 갈렸다. 이는 1993년 이후 처음으로 연준 의장과 두 명의 이사가 동시에 다른 의견을 낸 사례다.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 위원은 여전히 “노동시장 둔화보다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이 더 크다”고 판단했지만 소수는 관세가 “일시적인 물가 상승”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 고용 둔화·물가 상승 신호…9월 인하 기대


이번 회의는 여름철 고용 증가세가 뚜렷하게 둔화된 7월 고용보고서 발표 이전에 열렸다. 또 생산자물가 급등 신호가 나타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은 더욱 복잡해졌다.

금융시장에서는 9월 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85% 수준으로 반영하고 있다. 의사록 공개 이후에도 시장 기대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한편, 월러·보우먼 이사는 오는 2026년 임기가 끝나는 제롬 파월 의장 후임 후보군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