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태국-캄보디아 국경 충돌 사망자 32명…휴전 '원칙적 합의' 속 진정 국면 모색

지난 25일(현지시간) 태국 동부 수린주 국경 지대에서 태국군 야포가 캄보디아를 향해 포격을 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5일(현지시간) 태국 동부 수린주 국경 지대에서 태국군 야포가 캄보디아를 향해 포격을 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태국과 캄보디아 간 국경 지역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로 인한 사망자가 32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양국이 휴전을 위한 대화에 나서면서 사태가 점차 진정 국면으로 접어드는 분위기다.
26일(현지시각) AP·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캄보디아 국방부는 지난 24일 발발한 교전으로 자국 내에서 민간인 8명과 군인 5명 등 총 13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태국 측 사망자는 19명으로, 양국의 총 사망자 수는 32명에 달한다.

현재까지 추가 충돌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며, 외교적 중재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올해 아세안(ASEAN)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가 제안한 휴전안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안와르 총리로부터 태국도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지만, 불과 한 시간여 만에 태국 측이 입장을 번복했다고 지적하며 유감을 표시했다.

말레이시아 관영 베르나마 통신에 따르면 안와르 총리는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일대에서의 군 철수와 휴전에 합의했으나, 이행에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캄보디아는 유엔 차원의 개입도 요청하고 나섰다. 찌어 깨오 유엔 주재 캄보디아 대사는 뉴욕 유엔본부에서 비공개로 열린 안보리 긴급회의 직후, "조건 없는 즉각적 휴전이 필요하다"며 평화적 해법을 강하게 촉구했다.

태국 역시 중재에 열린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태국 외교부 대변인 니꼰뎃 발란꾸라는 "교전은 전날 오후부터 진정되는 추세"라며, "말레이시아의 중재를 환영하며 협상에 열려 있다"고 밝혔다. 다만 태국 측은 휴전 이행을 위해선 현장 상황에 따른 적절한 조건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러스 잘리찬드라 태국 외교부 차관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태국이 먼저 군사행동을 중단할 수는 없다"며,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멈춰야만 휴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엔 안보리의 15개 이사국 모두는 양국에 자제와 평화적 해결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대화를 통한 해결을 강조하며 긴장 완화를 호소했다.
이런 가운데 태국 군 당국은 전날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한 찬타부리·뜨랏주 등 8개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두 지역은 현재 충돌이 발생한 수린·시사껫·우돈라차타니주와는 떨어져 있지만, 확전 가능성을 우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이번 충돌은 양국 간 오랜 국경 분쟁이 다시 불거진 결과로,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아세안과 국제사회의 조율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성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0328syu@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