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한국·일본등 14개국에 최대 40% 관세 통보…한·일 정상에 가장 먼저 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에 도착한 뒤 마린원 헬기에서 내리며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에 도착한 뒤 마린원 헬기에서 내리며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14개국에 최대 40%에 이르는 신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관세는 다음달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며 양국 간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당초 9일부터 예정됐던 시행일은 연기됐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7일(이하 현지시각) 주요 무역 상대국 정상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관세 인상 방침을 통보했으며 이재명 한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가장 먼저 서한을 받았다고 이날 보도했다.

◇ 일본·한국 25%…라오스·남아공 등은 최대 40%

트럼프는 이날 오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해당 서한의 사진을 공개하며 “양국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약 2시간 뒤에는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미얀마, 라오스 등 5개국에도 최대 40%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이 전달됐다고 그는 설명했다. 오후에는 튀니지,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등 7개국에도 같은 내용의 서한이 추가로 발송됐다.

이번 조치로 관세 대상국은 총 14개국으로 확대됐다.

CNN은 “미국이 지난해 이들 국가로부터 수입한 물품은 총 4650억 달러(약 647조9400억원)에 달한다”고 전했다. 특히 일본과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로 양국으로부터 2800억 달러(약 390조100억원) 규모의 수입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 “미국산 제품 수출 방해에 따른 조치…보복하면 더 높일 것”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 정상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과의 무역수지 적자가 큰 국가이며 미국산 제품의 수출을 방해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자국 내 생산으로 관세를 피하라”고 권고하며 “보복 조치를 취할 경우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백악관은 “이번 관세는 업종별로 이미 부과된 관세와는 별도로 적용된다”며 “예를 들어 자동차에 대한 기존 25% 관세 외에 중복 부과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일본은 지난 4월 기준으로 24%, 한국은 25%의 관세가 예정돼 있었지만 이후 한 차례 유예 조치가 내려진 바 있다. 말레이시아는 당시 25%였던 관세가 이번 서한에서는 24%로 소폭 낮아졌으며, 캄보디아는 4월 49%에서 36%로 조정됐다.

◇ 미 소비자 가격 상승 우려…주요 자동차·부품·반도체 등 직격탄

미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은 미국이 수입하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의약품, 기계류 등 주요 산업 품목의 주요 공급국이다. CNN은 “이들 품목에 대한 관세 인상은 미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남아공은 미국 수입 백금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는 미국의 두 번째 반도체 공급국이다. 의류와 액세서리의 경우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이 주요 생산 거점으로, 관세 인상 시 미국 내 의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증시 하락세…日·韓 자동차주 직격탄


트럼프 대통령이 잇따라 관세 인상 서한을 공개하자 뉴욕증시는 장중 하락세로 돌아섰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0.94% 하락한 4만4406.36에 마감됐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79% 하락, 나스닥 종합지수는 0.92% 떨어지며 3주 만에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다.

특히 일본 완성차 업체들의 미국 상장 주가가 급락했다. 이날 토요타는 4%, 닛산은 7.16%, 혼다는 3.86% 하락 마감했다. CNN은 “이같은 하락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자동차 업종에 대한 추가 관세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 말미에 “양국 관계에 따라 관세는 상향 또는 하향 조정될 수 있다”며 “미국에 실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