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 우려에 경영 환경 불확실성 확대
부과 시 전기차 판매에 영향 주며 판매 감소
북미 내 K-배터리 의존도 높아진 것은 기회
부과 시 전기차 판매에 영향 주며 판매 감소
북미 내 K-배터리 의존도 높아진 것은 기회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시작된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기차 판매가 부진해 어려운 상황인데 여기에 트럼프발(發) 관세 부과 우려가 더해지면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탓이다.
업계 관계자는 "취임 이후 경영 불확실성이 너무 커지고 있다. (관세가 부과된다면) 최종 제품 가격이 올라가니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면서 "다른 산업군과 다르게 배터리 업체들은 미국을 중심으로 공장을 지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종합적으로 보면 악영향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내 업계는 관세 정책의 간접 영향권에 있다.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한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그리고 다음 달 3일부터 부과될 예정인 150개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관측된다. 배터리에 대한 직접 관세는 아니지만 전방 산업에 영향을 미쳐 배터리 제품 수요가 줄어들 수 있어서다. IRA 폐지 가능성이 여전한 것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IRA를 폐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IRA 폐지에 대한 우려도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미래 중장기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거세지는 미국의 중국 견제를 기회로 삼아 북미 시장 내 영향력이 더 커질 수 있어서다. 중국 업체들의 북미 진출이 막혀 현지 거점을 보유한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인 고션이 공산당 연계 의혹과 지역사회 반발로 미국 미시간에 짓기로 한 공장 건설을 중단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더 큰 관세를 매기고 있는 것이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거기에 따른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