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美, ‘제약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시 연간 7조원 비용 증가 전망

미국 달러 지폐와 의약품.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달러 지폐와 의약품. 사진=로이터
미국이 해외에서 수입하는 의약품, 즉 제약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경우 연간 51억 달러(약 7조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6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제약업계 주요 로비단체인 미국제약협회(PhRMA)가 의뢰해 글로벌 회계법인 어니스트앤영(EY)이 작성한 보고서에서 이같은 내용이 제시됐다.

보고서는 지난 2023년 미국이 총 2030억 달러(약 291조원) 규모의 제약 제품을 수입했으며 이 가운데 73%가 아일랜드, 독일, 스위스를 포함한 유럽에서 수입된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만약 25% 관세가 전가될 경우 미국 내 의약품 가격이 최대 12.9% 인상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또 수입 완제품뿐만 아니라 미국 내 생산에 사용되는 중간재(약 30% 비중)에도 관세가 부과될 경우 국내 생산비용이 4.1% 상승하고 미국산 의약품의 글로벌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수출을 통해 발생하는 49만개의 관련 일자리 일부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제약 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국가 안보 위협으로 간주하고, 이를 문제 삼아 제약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상무부 주도로 제약 수입품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으며 현재 21일간의 의견 수렴 절차가 진행 중이다.

제약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사 착수를 계기로 관세 부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강조하는 한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로비를 강화하고 있다. 시들리 오스틴 법률사무소의 무역 전문 변호사 테드 머피는 "제약사들은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단계적 부과를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스위스 제약사 로슈는 미국 정부와의 직접 협의를 통해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 면제를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슈는 "미국에 수출하는 제품이 미국 내에서 생산한 의약품 및 진단제품 수출로 상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보고서는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얼마나 반영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만약 관세가 전면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전가될 경, 미국 내 약값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