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이창용 “성장률 크게 낮아져… 3개월 내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도”

성장률 전망 1.9→1.4% 하향 금리 인하로 대응
“환율 변동성 줄었으나 관세정책 불확실성 커”
“경기 비롯한 요소 보고 향후 인하 시점 선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은이미지 확대보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한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성장률 전망치가 1.5%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금리 인하로 대응하게 됐다”며 “금통위원 6명 중 2명은 경기 하방 압력을 고려할 때 향후 3개월 내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도 열어놓고 조건부 판단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한은은 성장률 하락을 우려해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한은은 향후 추가 인하 가능성을 열어두고 국내 경기와 정치 불안, 미국 관세정책 등 여건을 살피겠다는 방침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통화정책결정 방향회의에서 금통위원 6명 전원 일치 의견으로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한은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크게 낮춰 잡았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1.9%에서 0.4%p 조정된 것이다.
연간 금리 인하 횟수는 이달을 포함해 2~3회로 보고 있다면서 인하 시점은 “향후 경기 등 요소를 보고 선택하겠다”고 이 총재는 밝혔다.

원·달러 환율 변동성에 대해선 “전년에는 달러 강세, 정치 요인과 맞물려 변동성이 컸으나 현재는 줄어든 상황이다. 달러 인덱스를 살펴보면 계엄 사태 이후 15% 오르다 지금 다시 원상태로 돌아왔다”며 “금리를 낮추면 환율이 반드시 절하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발 관세정책에 대해선 현재까지 나온 정책을 가정해 성장률 전망에 반영했다며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예상외로 큰 폭의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과 그 여파를 두고는 “이 경우 경기부양에 재정·통화가 공조해 대응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관세정책 대응을 위해선 사실상 우리 산업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수출 낙수효과가 과거보다 크게 줄어든 만큼 새로운 산업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지난해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 시장금리 인하 효과가 작았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지난해 5월 미국의 금리 인하가 예측되면서 한국도 금리 인하가 기대됐는데, 그 효과가 시장에 선반영돼 막상 금리 인하 이후에는 효과가 적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고물가와 관련해선 “생필품의 물가 수준에 걱정이 많은데, 이는 통화정책으로는 도저히 해결할 수 없다”며 “생산자 보호와 소비자 보호를 균형 있게 (조절)해서 물가 수준의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 금통위는 지난 2023년 1월까지 7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리다 경기 둔화, 부동산 시장 위축 등이 우려되자 같은 해 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3회 연속 금리를 연 3.50%로 동결한 바 있다.

이후 지난해 10월과 11월 각 0.25%p의 인하를 단행해 기준금리를 3.00%까지 낮췄고, 올해 1월 동결을 결정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