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베트남 지난해 수출 新기록..."脫 중국 공급망 최대 수혜"

美企 대거 진출에 4천억 달러 돌파... 말레이·태국 제치고 아세안 1위
애플·메타·삼성 추가 투자 이어져... "중국 리스크 분산 새 거점으로“
베트남이 지난해 수출 실적에서 아세안 주요국들을 크게 앞지르며 새로운 제조업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베트남이 지난해 수출 실적에서 아세안 주요국들을 크게 앞지르며 새로운 제조업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베트남이 지난해 수출 실적에서 아세안 주요국들을 크게 앞지르며 새로운 제조업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최대 수혜자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라고 24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최근 닛케이 아시아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의 2024년 수출은 전년 대비 13.8% 증가한 403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말레이시아(5.6%), 태국(5.4%), 인도네시아(2.3%)를 크게 앞지른 수치다. 2017년 2140억 달러와 비교하면 7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성장했다.

특히 대 미국 수출이 23.4% 증가한 12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이는 말레이시아(23.2%), 인도네시아(19.2%), 태국(13.7%)보다 높은 증가율이다.

베트남의 약진은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 애플 협력사의 경우 베트남 진출 기업이 2023년 27개에서 2024년 35개로 증가해 아세안 최다를 기록했다. 현지 매체들은 베트남이 2025년 전체 아이패드와 애플워치의 20%, 맥북의 5%, 에어팟의 65%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메타도 올해 베트남에서 VR 헤드셋 '퀘스트 3S'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OLED 디스플레이 공장에 18억 달러를 추가 투자하고, 효성그룹도 40억 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반면 대 중국 수출은 동남아 전반에서 감소세다. 베트남과 말레이시아의 대중 수출이 2% 감소했고, 필리핀은 13.6% 줄었다. 태국(3.1%)과 인도네시아(0.4%)만 소폭 증가했다.

아세안사무국 자료에 따르면, 회원국 10개국의 2024년 3분기 대미 수출은 처음으로 8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2019년 1분기(438억 달러)의 두 배 수준이다. 같은 기간 대중 수출은 720억 달러로 2% 감소했다.

베트남 정부는 2025년 수출 목표를 4,510억 달러로 설정했다. 팜민찐 총리는 "잠재적 시나리오를 고려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해결책을 준비해야 한다"면서 "성장 기회와 추진력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