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기후변화, 고령화, 디지털화라는 '삼중고'에 직면하며 빈곤 위기에 놓였다. 특히 2040년까지 최대 2억 명 이상이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사회복지 시스템 강화 및 '정의로운 전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현지 시각)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에 따르면 기후변화, 인구 고령화, 디지털 기술 발전 등 글로벌 메가트렌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빈곤을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ESCAP의 최근 보고서는 2040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2억6600만 명이 빈곤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이 지역 전체 인구의 8.7%에 해당하는 수치다. 보고서는 "빈곤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나중에 대응하는 것보다 훨씬 비용 효율적"이라며 "사회보호 시스템 강화 및 재정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는 농업 및 천연자원에 의존하는 사람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빈곤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키리바시·네팔·통가 등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들은 빈곤율이 15%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인구 고령화는 의료 및 연금 시스템에 대한 부담을 가중하고, 재정 압박을 심화시킬 수 있다. 특히 아르메니아·키리바시·몰디브·몽골 등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들은 재정 건전성 악화 및 사회 불안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은 경제 성장과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지만, 일자리 대체와 불평등 심화 등 부정적인 영향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모두가 누리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포용적 디지털 전환' 정책이 필요하다.
ESCAP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건강한 노후 지원, 포용적 디지털 경제 구축 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사회보호 범위를 확대하고 혜택 수준을 높여 취약계층을 보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빈곤 위기' 경고는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후변화, 고령화, 디지털화라는 '삼중고'는 한국 사회 역시 피할 수 없는 과제며, 이에 대한 선제 대응과 사회안전망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후변화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빈곤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한국 역시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 중 하나이며, 폭염·폭우·가뭄 등 극한 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탄소 중립 및 녹색 성장 정책을 적극 추진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노력해야 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다. 고령화는 의료 및 연금 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고, 노인 빈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다. 사회복지 시스템을 확충하고 노인 일자리 창출을 지원해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한다.
디지털 기술은 경제 성장과 편의성 증대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디지털 격차를 심화시키고 불평등을 확대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교육을 강화하고,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기후변화, 고령화, 디지털화는 사회 변화를 가속하고 개인의 적응력을 요구한다. 평생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해 개인의 사회 적응력을 강화해야 한다.
사회 변화 과정에서 소외 및 배제되는 계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회 통합을 강화해야 한다. 다양성을 포용하고 사회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