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美,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 동맹국 동참 요구

美·中 '관세 전쟁', 한국에 불똥...美, 韓·日·EU에 중국 배제 공급망 구축 압박

국기연 워싱턴 특파원

기사입력 : 2024-05-15 06:2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각)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중국산 전기차 등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각)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중국산 전기차 등에 대한 고율의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중국에 관세 폭탄을 투하했다. 미국 정부는 14일(현지시각) 중국의 과잉생산과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구실 삼아 전기차(25%→100%·연내), 철강·알루미늄(0∼7.5%→25%·연내), 반도체(25%→50%·내년까지), 태양광 전지(25%→50%·연내) 등에 대한 관세 인상 방침을 밝혔다. 바이든 정부는 특히 중국과의 관세 전쟁에 돌입하면서 동맹국의 동참을 적극 요청했다. 바이든 정부는 한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의 동맹국, 유럽연합(EU) 회원국들과 함께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을 구축하려 한다.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 체계에서 배제하려는 게 미국의 전략이다. ·

바이든 정부는 미국이 취한 대중 고율 관세 부과 조처를 모델로 다른 동맹국들이 공동 행동에 나서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뉴욕 타임스(NYT)는 14일(현지시각)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는 달리 전기차 등 청정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데 동맹국들이 대중 견제에 동참해 달라고 한다”고 보도했다. NYT는 “트럼프 정부는 일본과 EU의 철강, 알루미늄에 관세를 부과해 동맹국들의 적대감을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바이든 정부는 부유한 민주주의 국가들이 공동 전선을 구축해 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중국과 함께 싸우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NYT는 유럽의 국가들이 우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오는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도 중국의 과잉 공급에 대한 동맹국의 공동 대응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브라이언 디즈 전 미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NYT에 “미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중국의 과잉생산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광범위한 국제 연합을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G7 국가 중에서 미국과 함께 프랑스, 독일, 캐나다 등이 공조하고 있다. 일본EU와 경제 안보 강화를 위한 공동 성명을 내놓는다. 전기차·태양광 패널 등 특정 산업에서 거액의 보조금 정책으로 부당하게 싼 제품을 수출하는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을 줄이자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이 특정 국가는 중국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 가미카와 요코 외무상, 사이토 겐 경제산업상과 발디스 돔브로프스키 EU 통상담당 집행위원이 다음 달 초 프랑스 파리에서 장관급 회의를 연다. 주요 20개국 (G20) 국가 중에서는 브라질이 중국산 철강 덤핑 수출 조사에 착수했다.

바이든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국 내 투자와 일자리 관련 연설에서 “중국은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행위(cheating)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 제품이 우리 시장에 넘쳐남으로써 미국 자동차 회사들이 공정하게 경쟁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에서 노조에 소속된 근로자들이 전기차의 미래를 열어가게 할 것이고, 이를 국제 무역법을 지켜가며 이룰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조처에 대해 “전략적이고, 표적화된, 스마트한 접근 방식이고, 중국과 충돌이 아닌 공정한 경쟁을 원한다"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 간 격화하는 통상 전쟁은 한국의 경제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번 조처가 한국의 대미 수출 기업에 단기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나 미국의 보호 무역 정책 강화에 따라 장기적으로 한국 기업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게 대체적 분석이다.

바이든 정부가 이날 발표한 관세 인상 대상은 중국산 수입품 180억 달러(약 24조6510억원) 규모다. 바이든 대통령이 무역법 301조에 따라 대중(對中) 고율 관세를 부과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산 전기차에 부과되는 최종 관세는 기존 27.5%(최혜국 관세 2.5%에 25% 추가)에서 102.5%(최혜국 관세 2.5%에 100% 추가)로 올라간다. 미국은 또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 7.5%→25%(연내), 리튬이온 비(非)전기차 배터리 7.5%→25%(2026년), 배터리 부품 7.5% → 25%(연내) 등으로 각각 관세를 올렸다. 핵심 광물 천연 흑연영구 자석의 관세는 현재 0%에서 2026년에 25%로 올라간다. 미국 정부는 또 연내 특정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를 현재 0~7.5%에서 25%로 인상한다.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2025년까지 50%로 인상한다. 태양 전지에 대한 관세는 25%에서 50%로 올해 일괄적으로 올라간다.

항구 크레인(Ship-to-Shore Cranes) 0% → 25%(연내), 주사기바늘 0% → 50%(연내, 마스크를 비롯한 개인 보호 장비(PPE) 0~7.5% → 25%(연내), 의료 및 수술용 고무장갑 7.5% → 25%(2026년) 등으로 관세가 오른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
%EA%B5%AD%EA%B8%B0%EC%97%B0 기자 사진

국기연 워싱턴 특파원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전기차 고민이라면? 그냥 아이오닉 5 사~! 2024년형 아이오닉 5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