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서 시작된 핵 합의 복원 협상 1달 넘게 '난항'

이란 매체 타심 뉴스의 14일 보도에 따르면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외무장관은 전날 제프리 오녜야마 나이지리아 외무장관과의 전화 회담서 "미국이 현실적인 조건을 내놓아야만 합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호세인 외무장관은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정치적으로 접근하기보단 기술적으로 사안을 바라봐야한다"고 지적했으며 사이드 바드르 알부사이디 오만 외무장관과의 통화에서도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꺼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이란은 지난달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프랑스·독일·영국·러시아·중국 등과 더불어 열린 핵 합의 복원 JCPOA 회담을 개시했다.
러시아의 타스 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협상 10일만인 지난 14일, EU 측이 내놓은 중재안에 미국이 동의했다. 그러나 미국과 이란 간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끝에 합의 기한이 9월로 미뤄졌다.
이에 미국 정부는 지난 12일 IAEA 의사회에서 "핵 합의 복원 협상에 있어 이란은 파트너로서의 의지를 보여주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성명문을 내놓았다.
또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13일 "핵 합의 협상의 여지는 아직 남아있으나, 정부는 복원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비상 계획 논의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이란 핵 합의의 역사는 2015년으로 올라간다. 당시 미국과 이란은 프랑스·독일·영국·러시아·중국 등 5개국과 함께한 자리에서 이란이 핵 프로그램을 동결·축소하는 조건으로 미국의 대 이란 경제 제재를 해제하는 내용의 합의안을 체결했다.
해당 합의안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18년 이란에 경제 제재를 가하자 이란 정부가 IAEA의 자국 시찰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며 파기됐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