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2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건설업계, 해외 사업 기대·우려 교차

관세 폭탄에 원자잿값 상승 예상...건설 경기 침체 심화 '우려'
에너지 등 중동 강경책 예고...국내 기업 '제2 중동붐' 비상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 축소...원전 분야 '트럼프 효과' 긍정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식...1200조 규모 재건사업 '기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하루 전인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승리 축하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하루 전인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승리 축하 집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기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내 건설사의 해외 사업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 폭탄으로 인해 원자잿값 상승이 공사비 인상으로 이어지며 건설 경기 침체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와 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전으로 재건 시장이 새로운 수주 텃밭이 될 것이란 기대가 공존하고 있어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 적자를 해결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세 인상은 원자잿값 상승으로 이어질게 자명해 그동안 공사비 인상으로 침체에 빠졌던 건설 경기가 더 깊은 나락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에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강경책을 예고하면서 국내 기업의 제2 중동붐에도 비상등이 켜졌다.

트럼프의 가스·석유 생산 확대로 유가를 낮추겠다는 에너지 정책이 중동 국가의 재정 타격으로 이어지면 중동을 주요 시장으로 관리하는 우리 기업엔 치명적 이어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기업의 해외 수주 가운데 중동이 184억 9000만 달러(약 26조 9270억 원·49.8%)로 절반을 차지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주한 공사는 전체 수주의 17.7%에 달했다.

그동안 국내 건설사들이 친환경 사업을 새로운 먹거리로 보고 적극 투자해 왔던 친환경·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 축소도 우려 요소 중 하나다.
트럼프 대통령이 친환경 정책을 '그린 뉴 스캠(신종 녹색 사기)'이라고 비판하며 축소를 공언한 상태다. 파리기후협약 탈퇴도 선언했다.

다만 원전 분야는 긍정적인 '트럼프 효과'를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

크리스 라이트 트럼프 2기 에너지부 장관 지명자는 대형 원전의 대안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같은 우려속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른 기대감 역시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조기 종식을 공언해 온 만큼 재건 시장이 국내 기업의 새로운 수주 텃밭이 될 수 있어서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규모는 9000억 달러(약 1200조 원)로 추산된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해 민·관 합동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원팀코리아)'을 구성해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를 방문했다.

당시 대표단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시 하수처리시설 기본계획 △카호우카 댐 재건지원 △철도노선 고속화(키이우~폴란드 등) 등 6대 재건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세웠다.

건설업계에서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국내 기업들의 유럽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트럼프로 인해 재건 시장이 열릴 가능성이 커졌다"며 "우크라이나에서 재건 사업을 하다 보면 유럽 시장으로도 진출할 포트폴리오를 쌓을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건설사들은 대내외적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 당장 대처하기보다는 추이를 지켜보며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으로 인한 변화는 예상되지만 어느 정도 수준의 변화가 필요할지는 조금 더 추이를 지켜보려고 한다"며 "전략 자체를 폐기 하는 등의 판단을 하기에는 조금 이른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