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8일 한전의 임시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김동철 전 의원을 차기 사장으로 임명했다.
한전의 총부채는 약 201조원으로 국내 상장사 중 가장 많다.
한전의 적자는 글로벌 에너지 가격 인상 등으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음에도 요금을 올리지 못한 영향이 가장 컸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후로 급등한 국제 에너지 가격이 전기요금에 제때 반영되지 못해 지난 2021년 이후에만 47조원이 넘는 막대한 영업손실을 냈다.
이런 상황에서 '위기 해결사'로 등판하는 김 전 의원은 한전을 위기에서 구해내 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막중한 책무를 떠안게 됐다.
한전이 갖고 있는 부채 해소의 근본적 해결책은 전기요금 인상이지만 결정권을 가진 정부는 한전의 '뼈를 깎는 구조조정' 노력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한전이 지난 5월 발표한 25조7000억원대 자구 노력 외에 추가적인 비용 절감 방안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13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요금 인상 가능성을 열어 두면서도 "국민에게 요금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할 수준 정도가 되려면 뼈를 깎는 구조조정 선행 없이는 그 얘기를 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전기요금 추가 인상에 대한 김 전 의원의 입장표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김 전 의원이 4선 국회의원을 지낸 관록 있는 정치인인 만큼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과 관련해 한전의 입장을 대변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김 전 의원의 전기요금 등 한전 현안 관련 입장 표명은 취임식 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 다음달 국정감사 과정에서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 및 계획과 시점 등에 관한 구체적 방향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성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ava0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