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국 고용지표 충격, 경기 침체 신호

미국의 7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000명이 늘었고 실업률도 4.2%로 상승했다. 사진은 미 일리노이주 소매점의 구인 간판. 사진=AP/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7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000명이 늘었고 실업률도 4.2%로 상승했다. 사진은 미 일리노이주 소매점의 구인 간판. 사진=AP/연합뉴스
미국의 7월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000명 늘었다. 시장 예상치인 10만 명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실업률도 4.1%에서 4.2%로 상승했다.
노동참여율은 62.3%에서 62.2%로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이런 추세라면 이번 달 실업률이 4.3%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

미국의 노동 통계는 전체 표본의 약 70%를 기반으로 잠정치를 산출한다. 이어 나머지 표본을 보완해 확정치를 발표한다. 5월과 6월 확정치를 이번에 함께 발표한 이유다.

5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폭은 종전 발표된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 줄었다.
6월 증가폭도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하향 조정했다. 두 달간 25만8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의미다.

트럼프 대통령이 노동 통계국장 해임까지 요구하면서 시장의 불안을 키우는 중이다.

일자리 전망치와 확정치 사이에 대규모 정정을 하는 바람에 관세 정책 불확실성을 키웠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에서도 연준의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추세다. 2년 만기 미 국채의 경우 금리가 하루 새 0.25%P나 하락했다.
2023년 12월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이다. 장단기 국채 간 금리차도 4월 10일 이후 가장 큰 폭이다.

4.22% 수준인 10년물 국채금리는 4.3%로 오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번 주 예정된 미 재무부의 정례 국채발행액 때문이다. 미 재무부의 국채발행액 1250억 달러 중 10년물과 30년물은 670억 달러 규모에 이른다.

고관세 정책과 고용 불안은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관세 부과로 인한 미국의 올해 실질 GDP 감소율 예상치는 0.5%P 정도다. 게다가 물가가 1.8% 상승할 경우 가구당 수입이 2400달러 줄어든다.

미국 경제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또 다른 어려움에 직면한 모습이다.
미국의 소비가 줄고 건설·제조업 투자도 위축되면서 고용이 감소하는 상황에도 대비해야 할 시기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