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요청 하루 만의 승인…對中 견제 속 산업 협력 부상
한화 필리조선소 지명, 조선·방산 융합산업 전환점 예고
한화 필리조선소 지명, 조선·방산 융합산업 전환점 예고
이미지 확대보기3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전날 이재명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 자리에서 "핵추진잠수함 연료와 기술 협력을 요청한다"고 밝힌 직후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핵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면서 "미국은 한국과 기술을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한 안보 협의가 아닌, 산업기술 이전을 거론했다는 점이 이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언급한 필리조선소는 지난해 한화그룹 계열사 한화오션이 인수한 곳이다. 이 조선소는 미국 동부 최대 규모로, 과거 미 해군 군수지원함과 상선을 건조해왔다. 한화오션은 필리조선소 인수 이후 인공지능(AI) 기반 생산관리시스템과 자동화 설비를 도입해 현지 생산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특정 조선소 지명'은 단순한 언급이 아니라 미국 내 생산 기반을 통한 전략 협력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화는 HD현대·LIG넥스원 등과 함께 해양·방산 융합 생태계를 구축 중이다. 특히 필리조선소는 미 해군 군수지원함 프로젝트 수주를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 방산기술을 결합한 '현지 공동생산 모델'을 구상 중이다. 이번 발표가 현실화될 경우 한화는 단순 하청이 아닌 기술 파트너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은 '미·영·호주 안보동맹(AUKUS)' 협력의 확장판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 호주에 한정됐던 핵잠수함 협력을 한국까지 확대해 중국 견제의 산업 파트너로 한국을 끌어들였다는 것이다. 단순한 안보 협력에서 산업 동맹으로 진화하는 셈이다.
하지만 과제도 뚜렷하다. 핵추진잠수함 건조는 고농축우라늄 연료와 원자로 기술이 포함돼 국제 핵확산금지조약(NPT)과 직접 맞닿아 있다.
미국 의회의 승인, 규제기관 검토, 한국 내 연료주기 논의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은 정책적 선언에 가깝고, 실제 기술 이전은 중장기 검토 단계에 머무를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럼에도 이번 발표는 의미가 작지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미국이 한국 조선 기술과 방산 역량을 전략자산으로 인정했다는 신호이기 때문이다. 한국이 기존의 '조선 강국'을 넘어 '방산 조선 복합산업국'으로 재정의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의 필리조선소 인수가 단순 투자에서 한·미 기술동맹의 거점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생겼다"면서 "한국 산업이 안보와 경제가 맞물린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으로 올라설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