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도법인 지분 15%(1억181만5859주)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처분일과 금액은 정해지지 않았다. LG전자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의 최종 승인 이후 공모가 밴드와 처분예정일자를 다시 공시할 예정이다.
앞서 LG전자는 지난해 12월 상장예비심사서류를 제출하며 상장 준비를 본격화하고 올 3월 인도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상장 예비승인을 받은 바 있다. 당초 이르면 상반기 중 상장이 진행될 것이라는 예상도 있었지만 4월말 인도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변동성 등을 고려해 상장 일정에 신중을 기해 왔다.
LG전자 인도법인 상장은 신주 발행 없이 지분 15%를 매각하는 구주 매출로, 조달 금액이 100% 본사로 유입되는 방식이다. 이자비용 등 금융 리스크 없이 대규모 현금 조달이 가능해 큰 폭의 재무건전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번 상장을 통해 LG전자는 금융 비용 없이 대규모 현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인도 현지 매체는 이번 공모 규모가 약 1150억 루피(한화 약 1조8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LG전자의 2분기 말 기준 별도 현금자산(약 1조1000억 원)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IBK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4분기는 가전 사업 비수기지만, 인도법인 상장으로 현금 흐름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도 “이번 IPO가 LG전자의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LG전자처럼 인도에 자회사를 상장해 자금을 확보하고 현지 사업을 키우려는 글로벌 기업들이 늘고 있다. 월풀, 오라클, 무디스, 스즈키, 네슬레 등도 인도 시장에서 상장을 추진하거나 이미 완료한 상태다.
정태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eyi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