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7510곳 중 4466곳(11.9%)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2023년 부실기업 수인 4350개사보다 116개사(2.7%)가 증가하는 수치로 최근 6년(2019년~2024년) 중 가장 많은 숫자다.
외감기업들이 평균적으로 부실해질 확률을 매년 도출한 결과 기업들의 부실확률은 2019년 5.7%에서 단계적으로 늘어나 지난해에는 8.2%에 달했다. 부실확률 역시 최근 6년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외감기업들의 부실확률을 높인 주된 업종은 부동산 및 임대업으로 이 산업의 부실확률은 24.1%로 분석됐다. 이어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15.7%)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4.2%) △예술, 스포츠, 여가관련 서비스업(14.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부실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으로 2019년 3.3%에서 지난해 6.1%로 이 기간 약 2배 뛰었다.
한경협은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 고금리 등의 영향으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부실기업 수가 많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