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로보틱스는 지난 11~15일 5일간 국내외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희망 공모밴드가격(2만1000원~2만6000원) 상단인 2만6000원에 확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상장을 주관한 미래에셋증권 및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해외 국부펀드와 초대형 롱펀드가 공모규모 5000억원 이하의 딜에 이례적으로 다수 참여하였으며, 국내 대형 투자기관들이 대부분 의무보유 확약을 제시하고, 전체 참여 물량의 100%(가격 미제시 포함)가 밴드 상단인 2만6000원 이상의 가격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두산로보틱스는 장기 투자 성향의 투자자 확보 및 일반 청약자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공모가격을 상단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이번 수요예측 전체 참여 건수 중 의무보유확약 비중은 51.6%(수량기준)에 달한다.
또한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경쟁률이 시장의 예상보다 낮다는 일부의 평가에 대해서는 “올해 7월부터 개정된 규정에 따르면 수요예측에서 납입 능력을 초과하는 소위 ‘허수’ 청약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과거 사례보다 낮아 보일 수도 있으나, 이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수가 국내는 1,660개, 해외는 260개 수준으로 두산로보틱스는 올해 공모를 진행한 신규 상장기업 중 최고 수준의 기관 참여도를 보이며, 실제 경쟁률에서는 흥행에 성공했다”라고 설명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번 IPO(기업공개)를 통해 확보한 공모자금을 전략적 사업 인수 및 투자에 활용하여 기존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는 한편 해외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AMR(자율주행로봇) 및 기타 주변기술 기업 인수 △국내외 생산시설 투자 △신규 제품 연구개발 △해외사업 강화 등에 사용해 회사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로보틱스 생태계 확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두산로보틱스는 오는 9월 21~22일 양일간 일반 청약을 거쳐 10월 5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예정이다. 일반 청약은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공동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 KB증권, 그리고 인수회사인 키움증권, 신영증권, 하나증권을 통하여 실시된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