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사건은 지난 9월 4일 조지아 브라이언카운티에서 발생했다. 당시 한국 엔지니어와 협력 인력 300여 명이 현장에서 체포돼 ICE 시설로 이송됐고, 일주일 뒤 한·미 정부 협의를 거쳐 귀국 조치가 이뤄졌다.
이 사건은 트럼프 행정부의 제조업 투자 확대 기조와 공격적 이민 단속 정책이 충돌한 사례로 지적돼 왔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미국 내에서 초기 설비 구축에 필요한 특수 기술 인력을 충원하기 어렵다”고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초기 단계에서는 인력을 데려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ICE는 “불법 고용 단속은 계속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특히 한국 엔지니어 가운데 상당수가 B-1, B-2 또는 ESTA 등 단기 체류 자격으로 입국해 공장 장비 세팅·검수 등 업무를 수행했던 점이 단속의 직접적인 배경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ABC뉴스에 따르면 양국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단기 비자에서 허용되는 ‘사업 활동’ 범위가 지나치게 모호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고, 관련 규정 정비와 별도 비자 카테고리 신설 방안까지 논의 중이다. 기업들도 일시적 출장 인력에 대한 제도 미비가 공장 운영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ABC뉴스는 구금됐던 한국 엔지니어 약 200명이 ICE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들은 단속 과정에서의 위법성, 인종적 프로파일링, 불법 체포 등을 문제 삼고 있다.
사고 이후 일부 한국 기업은 미국 내 출장·파견 인력을 일시적으로 중단했고 공장 가동 일정도 늦춰졌다. 무뇨스 사장은 합작 공장의 미국 내 상업 생산 시점을 “2026년 상반기”로 제시했다.
한편 한국 외교부는 “재발 방지를 위해 비자제도 개선 등 후속 조치를 미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면서 “양국 간 신뢰가 오히려 확인됐다는 평가도 있다”고 밝혔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