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골드만삭스 CEO "美 국가부채 37조 달러 넘었다…성장 없으면 위기 온다"

GDP 100% 육박, 이자만 연 1조 달러…"경기침체 가능성은 낮아"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가 3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아 테크 위크 2025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가 3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아 테크 위크 2025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가 미국 국가부채가 경제성장 속도를 넘어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 강한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30(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는 워싱턴 이코노믹 클럽이 주최한 데이비드 루벤스타인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부채 급증에 성장은 정체


솔로몬 CEO"지금 경로를 이어가면서 성장률을 높이지 못한다면 대가를 치러야 할 때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돌파구로 가는 길은 성장 경로"라며 경제 성장만이 쌓이는 부채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재무부 집계를 보면 올해 8월 기준 미국 국가부채는 37조 달러(52900조 원)를 넘어섰다. 지난해 1136(51400조 원) 달러를 넘은 지 8개월 만이다. 공공이 보유한 채무는 296000억 달러(42300조 원)로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약 100%에 가깝다.

솔로몬 CEO는 미국과 서방 국가들이 빚에 기댄 경기 부양책에 점점 더 의존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재정 부양책과 공격적인 재정 동원은 이제 민주주의 경제 운영 자체에 깊이 뿌리박혀 있다""이런 흐름은 지난 5년 동안 눈에 띄게 빨라졌다"고 말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 때 쏟아낸 대규모 재정 지출이 개인 소비를 키운 뒤 이런 경향이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초당파 비영리단체인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CRFB) 마야 맥기니스 회장은 "경제 규모와 견줘 부채 비율이 기록적 수준"이라며 "이자 비용만 연간 1조 달러(1430조 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올해 국가부채 이자로만 8700~9000억 달러(1240~1280조 원)를 쓸 것으로 보이며, 이는 국방비를 넘어서는 규모다.

신용시장 불안 속 시스템 위험은 제한적


이날 인터뷰에서 솔로몬 CEO는 최근 자동차 금융업체 트리컬러 홀딩스와 자동차 부품업체 퍼스트 브랜즈 그룹이 잇따라 파산하면서 생긴 신용시장 불안에 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금융 시스템을 위협하는 시스템 위험은 신용시장에서 보이지 않는다"며 개별 기업 붕괴가 전체 금융 시스템으로 번질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트리컬러 홀딩스는 지난달 10일 챕터7 파산보호를 신청하며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미국 7위 규모 중고차 판매업체이자 서브프라임 자동차 대출업체인 이 회사는 10~100억 달러(14300~143000억 원, 파산 신청서 기재 범위) 규모 자산과 부채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피프스 서드 은행은 이 회사와 관련해 17000~2억 달러(2400~2800억 원) 손실을 예상하고 있으며, JP모건체이스와 바클레이스도 수억 달러 손실에 대비하고 있다.

퍼스트 브랜즈 그룹은 지난달 28~29일 챕터11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FRAM 필터, 트리코 와이퍼 등 유명 자동차 부품 브랜드를 가진 이 회사는 100~500억 달러(143000~715000억 원) 빚을 떠안고 있으며, 불투명한 부외금융 구조가 문제가 됐다. 제프리스, UBS 등 주요 금융기관들이 수억 달러 손실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 침체는 피할 듯


다만 솔로몬 CEO는 단기적으로 경기침체 가능성은 "낮다"는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업계에서는 미국 경제가 재정 건전성 악화에도 당분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미국 재정 건전성 악화는 신용평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5월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1'으로 한 단계 낮췄다. 무디스는 등급을 낮춘 이유로 재정적자 확대와 빚 갚을 능력 약화를 들었다.

월가 안팎에서는 미국 정부가 재정 건전성을 되찾기 위한 구체적 조치를 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걱정이 커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경제성장을 통한 세금 수입 확대만이 부채 문제를 뿌리부터 해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