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유학생·비자 정책에 美 대학 재정 타격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드폴대학 캠퍼스를 학생들이 걷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일(현지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있는 드폴대학 캠퍼스를 학생들이 걷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대학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유학생·비자 정책 강화로 국제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재정 압박에 직면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일부 대학은 이미 지출 축소와 인력 감축에 나섰으며 유학생 감소는 특히 대학원 과정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에 따르면 시카고 소재 드폴대학은 올가을 국제학생 등록이 전년 대비 30% 줄자 즉각 예산 절감 방침을 내놨다. 교직원에게 보낸 공지에서 로버트 마누엘 총장은 “신규 채용 동결, 경영진 급여 삭감, 선택적 지출 제한 등의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학 측은 이번 감소가 비자 발급 지연과 정책 변화로 미국 유학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확산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현상은 개별 대학에 국한되지 않는다.

로이터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다수의 대학이 정부 연구비 축소와 유학생 감소로 인한 재정 압박을 호소하고 있으며 일부는 수백 명에서 수천 명 규모의 감원을 단행했다. 전문가들은 유학생이 상당수가 재정 지원을 받지 않고 전액 등록금을 내는 경우가 많아 이들의 이탈이 곧바로 대학 재정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비영리단체 NAFSA는 올해 미국 내 국제학생 수가 최대 15%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미국 경제에 약 70억 달러(약 9조7000억 원)의 손실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일부 대학의 학부 신입 유학생 수는 늘었지만 대학원 과정은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대학 재정 구조상 장기적인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욱이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대학들에 학부 유학생 비율을 15%로 제한하는 협약 체결을 요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고등교육 기관들의 불안감은 한층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제학생 의존도가 높은 대학일수록 재정 위기에 더 취약하다며 장기적으로 미국 고등교육 경쟁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