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정부, 소비 부양 위해 '자동차 애프터마켓' 규제 완화 추진

상무부, 자동차 개조·중고차·모터스포츠 등 관련 지출 촉진 계획
"구매 통제"에서 "사용 규제"로 정책 전환, 번호판 제한 완화 검토
중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 증대를 위해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각종 규제 장벽을 해체하는 개혁에 나선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 증대를 위해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각종 규제 장벽을 해체하는 개혁에 나선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 증대를 위해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각종 규제 장벽을 해체하는 개혁에 나선다고 20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 상무부는 자동차 산업 대표들과의 심포지엄을 통해 자동차 판매 및 유통에 대한 시범 개혁을 시작하고, 자격을 갖춘 도시들이 애프터마켓 소비 촉진을 위한 시험을 수행하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의 성추핑 차관은 "상무부는 관련 부서와 협력하여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제한 조치를 철폐하고 소비 잠재력을 더욱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7일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는 지방 정부, 기업, 산업 협회 대표들이 참석해 자동차 개조, 레저용 차량 캠핑, 모터스포츠, 클래식 자동차, 자동차 박물관 등의 주제를 다뤘다.

이번 개혁은 지난 3월 발표된 소비 촉진 및 경제 성장 제안과 맥을 같이 한다. 당시 제안은 자동차 개조, 리스, 모터스포츠 등 자동차 관련 지출을 확대하는 동시에 등록 간소화와 데이터 공유 개선을 통해 중고차 시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자동차 소비 정책을 "구매 기반 통제"에서 "사용 기반 규제"로 전환해 정부가 자동차 구매를 제한하기보다 사용 방식을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국의 중고차 시장은 아직 성장 여지가 크다. 차이나 머천츠 시큐리티즈의 왕류성 수석 자동차 분석가에 따르면 차량 배기가스 배출 기준의 지역별 차이가 중고차 유통의 주요 장벽이 되고 있다. 왕 분석가는 중국의 중고차 시장이 전체 차량 보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며, 미국 등 다른 주요 자동차 시장에서는 중고차 판매가 신차의 두 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자동차딜러협회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중고차 판매량은 올해 첫 8개월 동안 거의 1300만 대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신차 판매량은 1470만 대였다.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자동차 보유량은 3억5900만 대이며, 신에너지 자동차가 약 10.3%를 차지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가 12월 발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많은 자동차 보유량과 평균 연식 증가는 애프터마켓, 특히 수리 및 유지보수 서비스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 잠재력을 나타낸다. 신에너지 자동차의 규모 확대도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유목민 라이프스타일이 유행하면서 부유한 은퇴자들이 주도하는 중국의 RV 시장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3월 제안은 또한 수년간 복권 시스템에 참여했음에도 번호판을 확보하지 못한 가족의 자동차 소유 자격을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를 포함한 중국 주요 도시들은 교통 혼잡과 대기 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오랫동안 면허 추첨이나 경매를 통해 차량 구매에 제한을 두었다.
하지만 중앙 정부가 내수 증대를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동차 구매를 추진함에 따라 지방 당국에 자동차 구매 제한을 완화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없는 가구를 더 잘 수용할 수 있도록 차량 할당량 시스템을 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번 개혁은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소비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자동차 애프터마켓은 단순한 차량 판매를 넘어 개조, 수리, 유지보수, 레저 활동 등 다양한 부가가치 서비스를 포괄하는 거대한 시장이다. 규제 완화를 통해 이 시장의 잠재력을 끌어내려는 중국의 시도가 실제 소비 증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