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정부, 인텔 지분 10% 인수 확정...트럼프 "그런 거래 더 할 것"

미국 국기와 인텔 로고 및 '10% 지분'이라는 단어가 보인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국기와 인텔 로고 및 '10% 지분'이라는 단어가 보인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반도체 기업 인텔 지분 10%를 인수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2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와 회동하고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약 10%를 확보하는 거래를 최종 확정했다.

인텔이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 정부는 인텔 보통주 4억3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에 취득해 총 89억 달러(약 11조9000억 원)를 투자하게 된다. 이는 완전 희석 기준 인텔 보통주의 약 9.9%에 해당한다.

인텔은 89억 달러 규모의 미국 정부 투자가 미국의 ‘반도체지원법(칩스법)’을 통해 지원된 보조금으로 충당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보조금은 이미 승인됐으나 아직 지급되지는 않았던 자금이다.
이에 따라 앞서 인텔이 받았던 칩스법 자금 22억 달러를 포함하면, 미국 정부의 총투자 규모는 111억 달러로 늘어나게 된다. 이번 지분은 의결권이 없는 주식이며, 미국 정부는 인텔 이사회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회사 측은 미국 정부가 매입한 주식 가격이 시장가보다 할인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인텔 주가는 5.5% 상승한 24.80달러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 게시글에서 인텔 지분 인수 거래를 두고 “미국에 위대한 거래이자 인텔에도 위대한 거래”라며 “인텔이 주력하는 첨단 반도체와 칩 생산은 우리 국가의 미래에 필수적”이라고 밝혀 이번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 정부가 민간 기업의 지분을 직접 보유하는 것은 자유시장 자본주의 원칙에 반하는 이례적 조치로, 그동안 전쟁이나 시스템적 경제 위기와 같은 특수 상황에서만 허용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인텔이 경쟁사들에 “뒤처져 있다”고 언급하면서 이달 초 탄 CEO와의 회동에서 직접 지분 투자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미국 정부의 인텔 지분 인수를 계기로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등 대미 반도체 설비투자에 따른 보조금을 수령하는 다른 기업에 대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인수를 시도하려 할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조 추첨 일정 발표 행사에서 인텔이 지분 10%를 미국 정부에 넘기는 데 동의했다고 밝힌 뒤 "우리는 그와 같은 거래를 많이 하며, 나는 (그와 같은 거래를) 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지난 19일 칩스법에 따른 자금을 지원받는 기업들에 대해 정부가 일정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로이터 통신은 백악관 관계자와 소식통을 인용해 러트닉 상무장관이 인텔뿐 아니라 삼성전자, 마이크론, 대만 TSMC 등에도 칩스법 지원과 지분 참여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21일 행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칩스법에 다른 보조금을 주는 대가로 보조금 수령 기업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미국 투자를 늘리고 있는 대형 업체들에 대해선 지분 확보를 추구할 계획이 없다고 보도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