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최대 태양광 기업들, 인력 3분의 1 '조용히 감축'…가격 전쟁·손실 '몸살'

롱이·트리나 등 5개사, 8만 7천 명 해고…지난해 40개 이상 기업 파산·매각
공급 과잉 심화, 수출 시장 봉쇄에 '이중고'…정부, 'OPEC식' 생산량 통제 '개입' 예고
2025년 4월 14일, 중국 닝샤후이족 자치구 링우(Lingwu)에 있는 사막의 태양광 발전소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태양광 패널을 운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5년 4월 14일, 중국 닝샤후이족 자치구 링우(Lingwu)에 있는 사막의 태양광 발전소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들이 태양광 패널을 운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최대 태양광 기업들이 지난해 인력의 거의 3분의 1을 조용히 해고했다. 이는 중국이 경제 성장을 위해 직접 선택한 '미래 산업' 중 하나인 태양광 산업이 가격 하락과 막대한 손실로 인해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번 감원은 태양광 및 전기차를 포함한 중국 산업 전반에 걸쳐 진행 중인 악랄한 가격 전쟁의 고통을 반영하고 있다고 4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이 공개 서류의 고용 수치를 검토한 결과에 따르면, 롱이 그린 에너지, 트리나 솔라, 진코 솔라, JA 솔라, 퉁웨이 등 5개 주요 태양광 기업은 지난해에만 평균 인력의 31%에 달하는 약 8만 7천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분석가들은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일자리 손실이 기업들이 손실을 막기 위해 노력하면서 해고와 함께 급여 및 시간 삭감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고용을 사회 안정의 핵심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러한 대규모 감원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사안이다. 지난해 롱이(Longi)가 인정한 5% 감원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언급된 회사 중 어느 곳도 공식적으로 감원을 발표하지 않았다.

모닝스타의 쳉 왕(Cheng Wang) 애널리스트는 "업계는 2023년 말부터 침체에 직면해 있다"며, "2024년에는 상황이 더 나빠졌고, 2025년에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7월 태양광산업협회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이후 40개 이상의 태양광 회사가 상장 폐지, 파산 또는 인수되었다.

중국의 태양광 제조업체들은 2020년부터 2023년 사이에 침체된 부동산 부문에서 태양광 패널,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새로운 3대' 성장 산업으로 자원이 전환되면서 열광적인 속도로 새로운 공장을 건설했다.

이러한 건설 열풍은 가격 하락과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많은 중국 소유 공장의 수출에 대한 미국의 관세로 인해 더욱 악화된 잔인한 가격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산업은 지난해에만 600억 달러의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분석가들은 올해 감원이 계속될지는 불분명하지만, 중국 정부가 생산 능력 감축을 위해 개입할 의사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 주요 폴리실리콘 생산업체인 GCL은 최고 생산업체들이 가격과 공급을 통제하기 위해 'OPEC과 유사한 기업'을 설립할 계획이며, 업계의 저품질 생산 능력의 약 3분의 1을 매입하고 폐쇄하기 위해 500억 위안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진핑 주석은 7월 초 '무질서한 가격 경쟁'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으며, 3일 후 산업부는 태양광 업계 경영진과의 회의에서 가격 전쟁을 진정시키고 노후화된 생산 능력을 폐기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러한 정부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난관은 여전하다. 많은 주 정부들이 일자리와 경제 성장을 이유로 생산 능력 감축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가들은 말한다.
제프리스(Jefferies)의 앨런 라우(Alan Lau) 애널리스트는 기업들이 수익성을 회복하려면 제조 능력의 최소 20~30%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중국에는 철강, 시멘트와 같은 과잉 생산력이 많지만, 과거에 이미 1년 반 동안 업계 전반의 현금 손실을 겪은 산업은 볼 수 없다"며 태양광 산업의 위기가 매우 이례적이고 비정상적이라고 지적했다.

트리비움 차이나(Trivium China)의 코시모 리스(Cosimo Ries) 애널리스트는 "어떻게 보든 태양광 수요가 공급을 곧 따라잡을 방법은 없다"며 "초고성장 시기는 지났다"고 단언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