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21.6% 폭풍 성장…‘생산→회수’ 이어지는 수직계열화가 승부처”

시장 성장 배경에는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수요 급증에 따른 순환경제 전략 부상이 자리 잡고 있다. 업계는 배터리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밸류체인을 한데 묶어 비용을 줄이고 탄소배출을 낮추는 ‘수직계열화’를 앞다퉈 구축하고 있다.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는 지난 15일 “습식 제련에 견줘 에너지 소비를 30%가량 줄였으며, 저온 전해 공정을 도입해 회수율을 95% 이상으로 높였다”고 밝혔다. SK에코플랜트 자회사 SK테스와 캐나다 라이사이클도 이 같은 건식 공정 기술을 앞세워 설비를 확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교체 물량이 2027년 전후로 본격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배터리 제조사와 재활용사 간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클로즈드 루프(closed-loop)’ 체계를 강화하는 분위기”라고 전한다. 포드와 테슬라도 이 같은 계약을 맺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2월 ‘배터리 규제안’을 통해 2030년부터 재생원료 의무 비율을 단계적으로 높이도록 규정했다.
시장 참여 기업들은 앞으로 해마다 20억 달러(약 2조7600억 원) 수준의 신규 설비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특히 니켈·코발트·망간 배합(NCM) 및 니켈·코발트·알루미늄 배합(NCA) 배터리 회수 부문이 최대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다만 물류·검사·분류 비용 부담과 국가별 규제 차이는 남은 과제로 지적된다.
시장 관계자들은 “원료 가격 변동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려는 자동차·에너지 업계 제휴가 활발하다”고 전한다. 미국과 중국 정부도 재활용 관련 세제 혜택과 보조금 확대를 검토 중이다.
최근 에너비 분야 주요 보도에 따르면 리튬·니켈·코발트 등 핵심 소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시장 규모가 4배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기술 고도화와 파트너십 확대에 주력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는 일관된 정책과 인센티브 설계를 통해 시장 성숙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