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현대전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우크라이나·이스라엘 'AI·드론' 융합 전쟁

"AI·드론, 병력·전투기 대체 아닌 창의적 융합이 승패 갈라...전통 무기와 신기술 결합이 현대전 판도 바꿔"
이스라엘의 자폭 드론 '하롭'. 사진=IAI이미지 확대보기
이스라엘의 자폭 드론 '하롭'. 사진=IAI
최근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의 군사작전에서 전통 무기와 인공지능(AI), 드론 등 신기술이 함께 쓰이면서 전쟁의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경제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4일(현지시각) 실제 전장 사례와 구체적 수치를 바탕으로 현대 군사혁신의 흐름을 집중 조명했다.

우크라이나, 드론으로 러시아 전략폭격기 40대 타격..."비대칭 전력의 위력"


지난달 우크라이나군은 '스파이더스웹' 작전에서 러시아 본토 1000km 넘는 내륙에 있는 전략폭격기 기지를 드론으로 공격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41대의 러시아 전략폭격기가 공격받았고, 최소 13대가 파괴됐다"고 밝혔다. 미국 국방부는 "20대가량의 러시아 군용기가 손상됐고, 10대가 파괴됐다"고 평가했다. 독일군 고위 관계자도 "러시아 전략폭격기 전력의 10%가 손실됐다"고 말했다.

이 작전은 상업용 드론에 폭발물을 실어 수백km를 날려 보내 러시아의 핵심 전략자산을 저비용으로 무력화한 사례로 꼽힌다. 시장에서는 "전통 대규모 무기체계가 저가 드론의 기습에 약하다는 점이 드러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우크라이나는 전투기 한 대 값의 극히 일부 비용으로 러시아의 핵심 전력을 타격했다는 점에서, 비대칭 전력의 힘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스라엘, 200대 전투기·드론· AI 동시 투입..."융합 작전이 승패 갈랐다"

이스라엘은 지난 613일 이란 핵시설을 겨냥한 대규모 공습에서 200여 대의 전투기를 동원해 100개 목표에 300발의 정밀 유도탄을 쏘았다. 동시에, 이스라엘 정보기관이 이란에 몰래 들여간 드론 부품으로 현지에서 조립한 쿼드콥터 드론이 미사일 발사대를 파괴했다. 이스라엘군은 "수십 명의 이란 군·핵 관련 인사를 타격했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인공지능 기반 정보분석, 사이버전, 무인기, 유인기, 인적 정보 등 다양한 수단을 실시간으로 통합해 운용했다. 이스라엘 미사일방어기구 모셰 파텔 국장은 "모든 무기체계가 실시간으로 연동돼 미국 등 동맹국 시스템과도 완벽히 협력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군은 이번 작전에서 "기존 5년 단위였던 작전계획 주기를 5개월로 줄였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기술 변화 속도와 전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작전계획의 신속한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군, '덧붙이기'식 신기술 도입 한계..."무기체계 간 연동이 관건"


미국은 전차, 군함, 전투기 등 기존 무기체계의 성능은 뛰어나지만, AI·드론 등 신기술과의 연동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WSJ는 "미군은 신기술을 기존 무기체계에 단순히 덧붙이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보도했다. , 신기술을 무기체계 전체에 통합하지 않고, 기존 장비에 추가하는 방식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은 2021년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우주기반 유도, 극초음속 추진, 정밀타격을 통합해 미군을 놀라게 했다. 시장에서는 "중국은 신기술을 군 전체 전략에 맞춰 조직을 다시 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미 공군은 AI가 조종하는 F-16 전투기 실전비행을 지난해 실시했다. AI 전투기는 시속 885km로 인간 조종사와 공중전을 벌였으며, AI가 인간보다 빠른 반응과 고난도 기동을 보였다. 미 공군은 2028년까지 1,000대 이상의 AI 전투기를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

"AI·드론, 대체 아닌 융합...창의적 결합이 승패 좌우"


시장에서는 "21세기 전쟁은 드론과 전투기, AI와 인간, 아날로그와 디지털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창의적으로 결합하는 군이 이긴다"는 평가가 많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활용, 이스라엘의 융합작전 모두 '도구의 성능'보다 '운용의 창의성'이 중요함을 보여줬다는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큰 예산보다 빠른 혁신과 민간기술의 적극적 도입, 조직 내 융합문화가 현대전의 핵심"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