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지난 2018년 수립된 560억 달러(약 76조2000억원) 규모의 천문학적 보상안이 미국 델라웨어주 형평법원에서 무효 판결을 받은 뒤 주주들 사이에서 불확실성이 커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테슬라 이사회는 지난달 공시를 통해 단 한 문장으로 이같은 위원회 설립 사실을 공개했다. 이 위원회는 로빈 덴홀름 이사회 의장과 캐슬린 윌슨-톰프슨 이사로만 구성돼 있다.
이 위원회는 향후 주주총회에서 새로운 보상안을 표결에 부칠 수 있도록 머스크에게 지급할 수 있는 주식보상방안을 포함해 다양한 대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지난 2023년 기존 보상안에 설정된 기업가치와 재무목표를 모두 달성해 총 3억400만주에 달하는 스톡옵션을 확보했다. 이는 2024년 1월 무효 판결 당시 기준으로 560억 달러(약 76조7000억원), 2023년 말 주가 기준으로는 1460억 달러(약 198조5000억원)에 이르렀으나 현재 주가 기준으로도 980억 달러(약 133조4000억원) 수준이다.
그러나 델라웨어주 대법원이 해당 보상안을 최종적으로 뒤집지 않는다면 테슬라는 이같은 주식보상을 다시 지급하기 위해 막대한 회계비용과 세금 부담을 안게 된다. FT는 “해당 옵션이 이미 목표치를 초과 달성한 ‘인더머니(in-the-money)’ 상태이기 때문에 재발행 시 테슬라에 500억 달러(약 68조원)가 넘는 회계비용이 발생하고, 머스크는 57%의 세율을 적용받는다”고 전했다.
머스크는 최근 “테슬라 지분율이 25%에 못 미치면 인공지능(AI)을 포함한 회사의 전략 방향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다”며 회사를 떠날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현재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율은 약 13%이며 2018년 보상안이 원상복구되면 20% 이상으로 늘어난다.
머스크의 이런 발언은 이사회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그의 역할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특히 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밀착하며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은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테슬라 전기차 판매가 급감했고 중국 시장에서도 경쟁 심화와 미중 무역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머스크는 지난달부터 “테슬라에 더 많은 시간을 쏟겠다”고 약속하며, 최근 들어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테슬라 본사에 머무는 시간이 늘었다고 FT는 전했다. 테슬라 측은 머스크의 CEO 교체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했다.
이번 특별위원회는 텍사스주 법률에 따라 운영된다. 테슬라는 2024년 보상안 판결에 반발해 법인 등록지를 델라웨어에서 텍사스로 이전했으며, 이에 따라 위원회는 기존 델라웨어주 법률 전문가였던 시들리 오스틴 대신, 텍사스 법률에 정통한 맥더못 윌 앤드 에머리를 새로 선임했다.
한편, 지난 1월 테슬라 이사회 일부 이사들은 과도한 보수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현금 및 주식으로 9억 달러(약 1조2000억원)를 자진 반납했다. 이사회 의장 덴홀름은 이사회에 합류한 2014년 이후 총 5억3800만 달러(약 7000억원) 상당의 주식을 매도했으며, 최근 6개월간에만 1억9800만 달러(약 3000억원)어치를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