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미국, 화웨이 AI칩 사용 '전 세계 제한' 발표...관세 휴전에도 中 기술 압박

"허가 없이 어센드칩 사용 시 수출규제 위반"...최대 징역형·벌금 등 처벌 경고
엔비디아는 AI 확산 규칙 폐지로 반사 이익..."국가 간 선택 강요하는 효과" 전망
화웨이(Huawei) 로고가 있는 스마트폰이 미국 국기 앞에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화웨이(Huawei) 로고가 있는 스마트폰이 미국 국기 앞에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정부가 화웨이의 인공지능 칩을 전 세계 어디서든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미·중 간 90일 관세 휴전 합의 발표 직후 나온 결정으로, 중국 기술 대기업에 대한 전례 없는 단속이라는 평가라고 14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미 상무부 산하 산업안보국(BIS)은 13일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용 칩에 대한 새로운 지침을 발표하며, 화웨이의 어센드(Ascend) 칩을 허가 없이 사용하는 것은 미국 수출통제 규칙을 위반하는 행위라고 경고했다.

BIS는 어센드 칩의 개발 및 생산이 미국의 수출통제를 위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하며, BIS 허가 없이 미국 내외의 개인이나 회사가 이를 사용할 경우 "징역, 벌금, 수출 특권 상실 또는 기타 제한을 포함한 상당한 형사 및 행정적 처벌"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화웨이의 어센드 AI칩은 미국이 엔비디아 등 자국 기업의 중국 수출을 강력히 제한하면서 중국 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들에 화웨이 제품과 같은 국내 솔루션을 더 많이 채택하도록 장려해왔으며, 아이플라이텍, 센스타임 등 중국 기술 기업들이 화웨이 칩의 주요 사용자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치는 워싱턴과 베이징이 90일 동안 상호 관세를 인하하기로 합의한 지 하루 만에 나온 것으로, 미국이 관세 완화에도 불구하고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여전히 압박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사모펀드 회사인 J&J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조나 쳉은 "어센드 칩은 화웨이가 해외에 공급하는 것은 고사하고 화웨이 자체로도 충분하지 않다"며 "칩 제조업체와 칩 포장업체가 중국 고객에게 공급하는 것을 제한하는 1월 수출 통제가 중국 칩 산업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BIS는 같은 날 바이든 시대의 AI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을 공식적으로 폐지하고 칩 수출 통제에 대한 세 가지 새로운 지침을 발표했다. 과거 규칙은 국가를 3개 계층으로 분류하고 2단계와 3단계에 제한을 가했으나, 이제 폐지되었다. BIS는 "미래에" 대체 규칙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는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 특히 엔비디아에 호재로 작용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BIS 발표 이후 13일 5% 이상 상승했다.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그동안 수출 통제 규정 완화를 위해 로비해왔으며, 엔비디아가 없는 시장에는 화웨이 같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 기업 중 하나"가 진출할 것이라고 경고해왔다.
젠슨 황은 13일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중 엔비디아가 블랙웰 칩 1만8000개 이상을 사우디 AI 회사 휴메인에 판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두바이 소재 패밀리 오피스의 한 투자자는 "사우디아라비아는 AI에 대한 큰 야망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과 중국 시장 모두에 엄청난 기회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편을 선택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새로운 규정으로 인해 중동 국가들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타이완경제연구소(TIER)의 치우 스팡 선임 분석가는 "최근의 무역전쟁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특정 산업에 대한 통제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미국과 다른 나라의 무역 회담은 중국에 대한 기술 통제와 수출을 위한 원산지 세탁 단속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리드 스미스의 국제무역 변호사 탄 알바이락은 "이번 조치는 시장 참여자들이 미국과 중국 중 어느 편을 들도록 더욱 압박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양국의 수출 통제 법률과 규정이 점점 더 충돌함에 따라 기업이 양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