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관세 여파에도 美 4월 물가상승률 4년 만에 최저

지난달 기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사진=미 노동부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기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사진=미 노동부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달 2.3% 오르며 4년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대폭 확대한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지만 경기 둔화와 일시적 유예 조치가 물가 상승세를 억누른 것으로 보인다.

13일(이하 현지시각) USA투데이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4월 CPI가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하며 3월(2.4%)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지난 2021년 2월 이후 가장 낮은 연간 상승률이다. 전달과 비교하면 0.2% 올랐다. 3월에는 0.1% 하락했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수치가 예상보다 낮았다며 놀라움을 나타냈다고 USA투데이는 전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은 당초 4월 CPI가 전월 대비 0.3%, 연간 기준으로는 2.4% 오를 것으로 전망했었다.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물가 역시 0.2% 오르며 연간 기준 2.8% 상승에 그쳤다. 근원물가 상승률 역시 4년 만에 최저치로 연방준비제도가 주목하는 물가 흐름이다.

이같은 물가 둔화 추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단행한 대중국 및 다수 국가 대상의 수입 관세 인상과 맞물려 있어 주목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초 미국 정부는 30%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와 기타 국가들에 대한 최고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발표했고, 같은 달 말에는 중국과 상호 협상을 재개하면서 일부 관세를 대폭 낮췄다.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기존 145%에서 30%로,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는 125%에서 10%로 줄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관세 효과가 본격화되면 올여름 이후 CPI가 다시 오를 가능성도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벤 에이어스 내셔널와이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수치는 올해 CPI의 바닥일 수 있다”며 “관세가 소비자 가격에 본격적으로 반영되면 CPI는 여름부터 뚜렷이 뛸 것”이라고 지적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와 팬시언매크로이코노믹스는 오디오 장비(9%), 사진기기(2.2%), 가구(1.5%), 컴퓨터와 액세서리(0.7%) 등 중국산 품목에서 가격 인상 조짐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반면 의류 가격은 0.2% 하락했다.
식료품 물가는 전체적으로 0.4% 하락했다. 특히 계란 가격은 고병원성 조류독감 완화의 영향으로 한 달 만에 12.7% 급락했다. 아침 시리얼(-2.5%), 쌀(-2.3%), 닭고기(-0.3%), 베이컨(-1%) 등도 일제히 하락했으나 빵(1.6%), 생선·해산물(0.8%) 등은 올랐다. 외식 물가는 세 달 연속 0.4%씩 올라 연간 기준 4% 상승률을 보였다.

유가 역시 하락세를 이어갔다. 휘발유 가격은 전달보다 0.1% 떨어지며 3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고 1년 전보다 11.8% 하락했다. 미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4월 중순 레귤러 무연휘발유 평균 가격은 갤런당 3.14달러(약 4300원)로 한 달 전보다 0.06달러 낮았다. 세계 경기 둔화 우려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증산이 유가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주거비는 전달과 마찬가지로 0.3% 오르며 연간 상승률 4%를 유지했다. 이는 지난 2022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신규 임대료 하락이 기존 임대에도 점차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다. 전체 물가 상승의 약 35%는 주거비가 차지했다.

자동차 보험(0.6%)과 수리비(0.7%), 의료 서비스(0.5%) 등 일부 서비스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금리 인하 여부를 두고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스티븐 브라운 캐피털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일시적 관세 유예 조치로 인플레이션 폭등은 다소 늦춰질 수 있지만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여력은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