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초점] 美 연준, 금리 인하해도 트럼프 관세발 시장 불안 해소엔 한계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가 최근 발표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인한 시장 불안을 완전히 해소하기엔 역부족일 수 있다고 야후파이낸스가 4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연준이 오는 6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사실상 전제로 하고 있으나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만으로는 관세로 인한 공급 충격과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리즈 앤 손더스 찰스슈왑 수석 투자 전략가는 야후파이낸스의 경제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한 자리에서 “금리 인하는 관세로 인한 경제적 병폐를 치료할 수 있는 해법이 아니다”며 “관세는 기업 비용을 상승시키고, 이는 소비자 가격에 전가돼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브라이언 레빗 인베스코 글로벌 시장 전략가도 “연준의 금리 인하 조치가 수요 측면에는 작용할 수 있으나 관세로 인해 야기되는 공급 측 압력에는 한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단순한 금리 인하만으로는 관세가 초래한 구조적인 비용 상승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 시장은 ‘해방의 날’로 불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급격한 조정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글로벌 수입품에 대해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및 유럽연합(EU)산 제품에는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내용의 정책을 제시했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관세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을 위축시키고 기업 실적 악화 및 경기 둔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캐시 호컬 뉴욕주 주지사 역시 “이같은 관세는 뉴욕주 경제에 ‘파국적 효과’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인하가 단기적인 심리 안정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무역정책의 불확실성과 공급 측 구조적 충격이 지속되는 한 연준의 정책 대응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