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EU, 보복 조치 예고
디지털 서비스법 놓고도 '힘겨루기'…무역 갈등 장기화 우려
디지털 서비스법 놓고도 '힘겨루기'…무역 갈등 장기화 우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2025년 2월 11일 프랑스 파리 주재 미국 대사 관저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카야 칼라스 EU 외교안보정책 고위대표와 양자 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로이터](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50212192646099590c8c1c064d22114611240.jpg)
트럼프 대통령은 EU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했던 관세를 다시 적용하는 것으로, 당시 EU와 영국은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반발했고, 이후 잠정 합의를 통해 관세를 면제받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는 예외 없이 모든 EU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으며, 이에 대해 EU는 "단호하고 균형 잡힌 대응책을 발동할 것"이라며 보복 조치를 예고했다.
미국과 EU는 디지털 서비스 규제를 놓고도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EU는 '디지털 서비스법(DSA)'을 통해 구글, 메타 등 미국 IT 기업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미국은 "자국 기업을 차별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밴스 미국 부통령은 DSA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고 비판하며, EU의 디지털 규제 정책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미국과 EU 간 무역갈등이 심화되면서 무역 전쟁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양측의 보복 조치가 이어질 경우, 글로벌 무역과 투자가 위축되고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미·EU 무역 전쟁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은 미·EU 무역 전쟁의 전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또한, 한국은 미국과 EU 사이에서 균형적인 외교 정책을 펼치고, 자유 무역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