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관광재단, 오는 15일부타 내년 1월 21일까지 38일간 진행

2022년 서울빛초롱축제 및 광화문광장 마켓은 총 130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크리스마스 기간에만 22만 3000 명이 방문해 역대 최초로 축제 기간을 연장하는 등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올해는 광화문광장에서 청계광장과 청계천, 서울광장까지 서울의 기념비적인 장소에서 총 4km 구간에 걸쳐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2023 서울빛초롱축제는 한지 등 전시의 정체성은 이어가면서 미디어파사드, 레이저 등 신기술을 접목해 관람객들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목습의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로 15주년을 맞은 서울빛초롱축제는 ‘잠들지 않는 서울의 밤, White Night in Seoul’을 주제로 개최된다.
서울빛초롱축제는 2009년 '한국 방문의 해'를 계기로 시작해 매년 전통과 현대의 빛이 융합된 아름다운 빛 조형물을 전시, 누적 2625만 명, 연평균 2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서울의 대표 겨울 야간관광 축제다.
2023 서울빛초롱축제에서는 광화문광장, 청계천, 서울광장 등 총 3개 구역으로 나누어 각 테마에 부합하는 빛 조형물을 설치한다.
청계천에는 △하늘로 비상하는 용을 형상화한 300미터 길이의 대형 행잉 빛 조형물인 ‘화이트 드래곤’ △고래, 코끼리, 유니콘, 거북이, 호랑이, 곰을 표현한 ‘동물 한지등’이 청계천 모전교부터 삼일교까지 600미터 이상의 구간에 전시된다. 이외에 올해 최초로 레이저, 무빙라이트 등을 활용하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앞 청계천 오간수교까지 빛 연출이 이어진다.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는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개최 시기에 맞춰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에 눈이 내리는 듯한 고보 라이트를 연출한 ‘컬러풀 아이스맵핑(Colorful Ice Mapping)’, 반짝이는 구체로 호흡에 반응하여 연쇄적으로 불이 들어오는 시민 참여형 인스톨레이션인 ‘사운드볼(Sound Ball)’을 주요 빛 조형물로 전시한다.
특히 올해는 2024년 갑진년 청룡의 해를 맞이해 한지로 제작한 10m 길이의 대형 푸른색 용 조형물을 설치하여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을 계획이다.
한편 서울빛초롱축제와 연계한, ‘광화문광장 마켓’도 작년보다 규모를 2배로 확대하여 개최한다. 광화문광장 마켓은 광화문광장 중앙 및 세종로 공원에서는 관람객들이 보다 더 따뜻한 연말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지역 소상공인과 함께 운영된다.
‘광화문광장 마켓’은 서울 야간관광 활성화와 지역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개최하는 행사로, 연말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마켓 부스를 조성하고 다채로운 시즌 소품, 수공예품, 겨울철 먹거리를 홍보·판매한다.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시작된 행사임에도 행사 기간 36일간 총 54명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총 87개 소상공인이 참여해 6억 3천만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는 등 서울 시민과 방문객들에게 큰 인기몰이를 했다.
길기연 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는 “2023 서울빛초롱축제와 광화문광장 마켓은 서울시의 다양한 매력을 선보이는 무대가 될 것이다”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서울의 겨울이 가지는 따뜻함과 활력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