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SKT 할인 종료에 9월 물가 2.1%↑…한은 "당분간 2% 안팎 상승세"

미국 관세정책·지정학적 불안 등 불확실성… 환율·유가 변동성 높아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이날 서울 중구 중부시장 인근 청과물 상점에 과일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2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이날 서울 중구 중부시장 인근 청과물 상점에 과일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뉴시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올라섰다. 한국은행은 통신요금 일시 할인 효과가 소멸되면서 당초 예상대로 2% 수준의 오름세를 나타냈다면서 향후 소비자물가도 2% 안팎의 상승세가 예상되나 미국 관세정책, 지정학적 불안 등 대외 여건 불확실성으로 환율·유가 변동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은 2일 한은 본관에서 김웅 부총재보 주재로 '물가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분석했다.

앞서 이날 오전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7.06(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했다가 8월엔 SK텔레콤 해킹 사태에 따른 요금 인하 효과로 1.7%로 반짝 둔화됐다.
가공식품 물가는 4.2% 뛰며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P) 끌어올렸다. 특히 빵(6.5%)·커피(15.6%)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축산물과 수산물도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이에 대해 김 부총재보는 "9월 소비자물가는 통신요금 일시 할인 효과가 소멸되면서 당초 예상대로 2% 수준의 오름세를 나타냈다"면서 "농축수산물가격(8월 4.8% → 9월 1.9%)은 기상 여건 개선, 정부 물가 대책 등에 힘입어 농산물이 하락 전환하며 9월 중 오름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향후 소비자물가도 2% 내외의 상승세가 예상되나 미 관세정책, 지정학적 불안 등 대외 여건 불확실성으로 환율·유가 변동성이 높아진 만큼 물가 상황을 계속 점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