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승계 보장 요구…노조 반발에 ‘재매각’ 우선 추진
MG손보 ‘자본잠식’ 지속…원매자 찾는데만 5번 실패
예보 측, 재매각 불발 대비 ‘가교보험사’ 설립 진행
MG손보 ‘자본잠식’ 지속…원매자 찾는데만 5번 실패
예보 측, 재매각 불발 대비 ‘가교보험사’ 설립 진행

이 때문에 금융당국은 가교보험사 설립을 통해 보험계약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지만, 고용승계를 요구하는 노조 반발에 못 이겨 원점으로 돌아가게 됐다. 원활한 계약 이전을 기대했던 계약자들의 기대만 꺾였다는 지적이다.
1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청산이 결정됐던 MG손해보험에 대한 매각이 재추진한다. 금융당국과 예금보험공사, MG손보 노조는 이날 MG손보 재매각 추진안과 관련한 협약서에 서명했다.
MG손보 노조는 전날 열린 조합총회를 통해 금융당국과 MG손보 재매각을 추진하겠다는데 잠정 협의했다고 밝혔다. 협의안은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의 중재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안은 계약 이전을 위한 가교보험사를 설립하는 대신, 재매각을 우선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만약 정상 매각 추진이 실패한다면 기존 금융당국이 세웠던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5개 손해보험사로 계약을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앞서 MG손보 노조와 예금보험공사는 최근 폐쇄형 가교보험사를 통한 정리를 보류하고 매각을 재추진하는 방향으로 잠정 합의했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보험업계와 금융당국이 숙의를 통해 결정한 정리 방안이 정권 교체 이후 노조의 주장에 따라 바뀌게 됐다. 노조 측은 직원들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반대해 왔다.
노조 측은 금융당국이 추진해 왔던 ‘폐쇄형 가교보험사’에 대해 거부감이 강하다. 폐쇄형이란 보험계약을 이전하지 않고, 가교보험사가 직접 계약을 유지·관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MG손보는 다시 인수자를 찾아야 하고, 이는 과거 수차례 매각 실패 사례를 떠올리게 해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가는 구조라는 비판이 많다.
문제는 매각이 현실적으로 성사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MG손보는 이미 과거 5차례 매각 시도가 모두 무산된 이력이 있으며, 올해 초 메리츠화재와의 인수 협상도 노조 반발로 결렬된 바 있다.
현재 MG손보의 지급여력비율은 –18.2% 수준으로, 업계 권고치(150%)에 한참 못 미친다. 또 자본잠식 규모는 125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실질적인 정상화를 위해선 수천억 원대의 추가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
계약자 보호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당초 5대 손보사로 계약을 이전받아 안정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상에 비해, 매각 재추진 방안은 다시 인수자를 찾는 불확실성에 노출된다. 반면 노조 측은 고용보장이 사실상 무력화됐다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제시된 조건은 최장 1년 6개월짜리 단기 계약직에, 급여도 최대 40% 삭감된 수준이다. 고용승계의 실질성이 없다는 주장이다. 금융당국과 MG손보는 최근 노조와 잠정 합의에 도달했지만, 고용 규모·비고용자 처리방안·영업 방식 등 핵심 사안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한편 예금보험공사는 이날 기존 가교보험사 설립 절차는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MG손보 노조 측의 요구대로 재매각을 위한 기간을 부여하면서, 매각 무산 등에 대비해 가교 보험사 설립 작업은 ‘투트랙’으로 진행하겠다는 설명이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o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