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환율에 이상기후까지 겹치자 파리바게트 등 줄줄이 가격인상

원-달러 환율 인상과 이상 기후로 인한 원자재값 상승을 이유로 유통가 식음료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사진은 파리바게트가 3600원에서 3700원으로 가격을 인상하는 '그대로토스트'. 사진=SPC이미지 확대보기
원-달러 환율 인상과 이상 기후로 인한 원자재값 상승을 이유로 유통가 식음료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사진은 파리바게트가 3600원에서 3700원으로 가격을 인상하는 '그대로토스트'. 사진=SPC
길었던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유통가에서는 줄줄이 제품 가격 인상에 나섰다. 업체마다 "이상 기후로 인해 일부 식재료 가격이 급등한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 여파로 인해 수입 단가가 높아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가뜩이나 힘든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파리바게뜨는 10일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평균 5.9% 인상한다고 7일 밝혔다. 가격 인상 품목은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등이다.
파리바게뜨의 가격 인상은 지난 2023년 2월 이후 2년 만이다.

가격 인상에 따라 '그대로토스트'는 3600원에서 3700원(2.8%)으로 오르고 '소보루빵' 가격은 1500원에서 1600원(6.7%)이 된다. '딸기 블라썸 케이크'는 1만9000원에서 1만9900원(4.7%)으로 오른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원료비와 각종 제반 비용 상승에 따라 불가피하게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빙그레도 다음 달부터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아이스크림과 커피, 음료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인상한다고 7일 발표했다.

롯데웰푸드도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를 200원 인상해 2000원으로 책정하는 등 자사 제품 26종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고 밝혔다.

설 연휴 전에도 가격 인상은 줄줄이 이어졌었다. 동아오츠카는 지난달 1일자로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올렸다.
대상은 설을 앞둔 지난달 16일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제품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버거킹은 설 연휴(1월 25∼30일)를 하루 앞둔 지난달 24일 대표 메뉴인 와퍼를 비롯해 일부 제품 가격을 100원씩 인상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빕스는 지난 3일 샐러드바 가격을 성인 이용료 기준으로 1800원 올렸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지수 상승률은 각각 2.7%, 2.9%로, 전체 소비자물가 지수 상승률(2.2%)을 웃돌았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