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트루다와 옵디보 등 오는 2028년 특허 종료
만료 후 3~5년 안에 출시 땐 비약적 상승 기대
업계 "과감한 투자 단행한 중국 정부와 대조적"
만료 후 3~5년 안에 출시 땐 비약적 상승 기대
업계 "과감한 투자 단행한 중국 정부와 대조적"

29일 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 MSD(이하 머크)의 키트루다와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퀍(BMS)의 옵디보, 화이자 이브란스, 일라이 릴리 트룰리시티 등 다수의 블록버스터 바이오신약의 특허가 오는 2028년 만료될 예정이다.
PwC컨설팅이 발간한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글로벌 도약을 위한 가이드'에는 이와 같은 내용이 기재됐다. 특히 특허 만료 후 시장의 변화를 전망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글로벌 연매출 1조원 이상을 거두는 의약품을 뜻한다. 즉 오는 2028년 추산 글로벌 판매액의 약 6.6%가 특허 만료 리스크에 노출되면서 다른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생긴다고 전했다.
이 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글로벌 빅파마들은 적극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의 신규 연구개발(R&D)뿐만 아니라 특허가 만료된 의약품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셀트리온은 다수의 바이오시밀러를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가에 판매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삼성바이오에피스도 같은 상황이다.
전통제약사인 동아에스티도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를 출시했으며 종근당과 GC녹십자 등도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허 만료에 발맞춰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한다면 큰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것.
다만 기한이 무한한 것은 아니다. PwC컨설팅은 글로벌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특허만료 후 시장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3~5년정도의 시간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바이오시밀러는 복잡한 제조공정을 요구하지만 한국 기업들 다수는 바이오시밀러와 관련해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PwC컨설팅은 설명했다. 바이오시밀러를 개발해 시장에 출시한다면 비약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고 평가했다.
R&D 집중할 여건 미흡…국가 차원 투자해야 경쟁력 '시너지'
기업들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PwC컨설팅은 미국과 유럽, 일본, 중국 등 패권국들이 제약바이오 산업을 국가 차원의 전략적 산업 육성으로 진입 장벽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바이오헬스케어 자국 데이터 보존 및 공급망 강화 기조를 보이며 정부 주도 R&D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체 R&D의 90%가 정부 예산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유럽은 북미 시장에 이어 시장 규모 2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매출액 상위 20개 사 중 10개사가 포진했다. 공급망 릿스크 보완을 위해 아시아 및 북미를 중심으로 투자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추세다.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의 대안으로 바이오·헬스케어를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를 설립해 정부 R&D 사업을 일원화했다.
중국은 대대적인 정부 투자를 단행하면서 오는 2049년까지 미국과 대등한 바이오·헬스케어 기술 강국 도약을 목표로 국가 중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정책 발표로 혁신 기조를 강화하고있으며 전염병 대응 등 보건의료분야 혁신을 위해 투자를 확대 중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글로벌 패권국과 규모 격차, 단기적 수익 창출과 중장기적 리스크 관리에 대한 부담, 패스트 팔로워 전략 등으로 R&D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미흡했다고 PwC컨설팅은 평가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