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SK, 오픈AI와 메모리·데이터센터 협력 MOU…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동참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  사진=SK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 사진=SK그룹
SK그룹이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메모리 공급과 서남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설립·운영 등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동참키로 했다. 반도체 공급부터 데이터센터 설계·운영, AI 서비스 확산까지 아우르는 협력을 통해 차세대 AI 인프라 혁신을 이끈다는 계획이다.
SK는 1일 최태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양사 경영진이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만나 메모리 공급 의향서와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최 회장은 “메모리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이어지는 SK의 통합 AI 인프라 역량을 이번 파트너십에 집중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을 선도하고, 대한민국의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K는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핵심 파트너로 참여한다. 스타게이트는 지난 1월 오픈AI와 미국 소프트웨어·클라우드 기업 오라클, 일본 투자회사 소프트뱅크가 공동 발표한 4년간 약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다.
SK하이닉스는 이 프로젝트에서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를 공급하는 주요 파트너로 나선다. SK하이닉스는 D램 웨이퍼 기준 월 최대 90만 장 규모의 HBM 공급 요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오픈AI의 AI 가속기 확보 전략 실현에도 적극 협력하고, 양사 간 협업 범위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업은 올해 상반기 기준 D램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한 SK하이닉스의 기술력과 공급 역량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결과로 평가된다.

한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웨이퍼 기준 현재 전 세계 HBM 생산 능력의 2배가 넘는 대규모 반도체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SK텔레콤은 그동안 쌓아온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서남권에 오픈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공동으로 구축하여 ‘한국형 스타게이트’ 실현에 나선다. 양사는 이번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B2C와 B2B 영역에서 다양한 AI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차세대 컴퓨팅 및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시범 운용까지 협력할 방침이다.
한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및 전력 인프라, 선도적인 반도체 기술, 그리고 풍부한 AI 수요를 토대로 글로벌 AI 혁신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력은 SK와 오픈AI가 대한민국의 AI 대전환을 위해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남권 AI 데이터센터는 아시아 지역 내에서 AI 데이터센터 허브로 자리잡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협력의 기반이 될 전망이다. SK그룹이 추진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과 연계해 동서를 잇는 AI 벨트를 구축함으로써,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하고 대한민국 전역의 AI 대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