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해킹 청문회, KT 무능 도마 위…”국가기간통신사 맞나 의문”

사건 축소 은폐 의혹, 김영섭 “최초 스미싱으로 알았다”
서버 폐기 “팀장급에서 알아서 매년 4000대 폐기한다”
복제폰 유무, 과기부 “모든 사안 종합해서 조사 필요해”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에 대한 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에 대한 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의 대규모 해킹 사고 관련 청문회는 KT에 대한 질타가 주를 이었다. 상당수의 과방위 위원들은 “KT가 국가기간통신사로서 부적합하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체신부라는 국가기관으로 운영되다 지난 2002년 민영화돼 지금의 KT가 됐다. 국가기간통신사 지정은 지난 1991년이었으면 민영화 후에도 계속 유지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외국 해킹그룹에 의한 침해와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이용해 가입자 일부가 무단으로 소액결제 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두 가지 해킹을 놓고 KT가 의심 서버를 폐기하고 사건의 축소와 은폐를 시도했다는 비판 여론이 있었다. 이 같은 KT의 행태를 놓고 과방위 위원들은 “민영화 됐는데도 공무원식 조직문화가 남아 있어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가장 큰 논란은 KT가 펨토셀에 의한 해킹 사건이 발생했는데고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했다는 것이다. 황정아(더불어민주당·대전유성구을) 의원은 “1일 경찰이 소액결제 사건이 있었다고 통보했는데 5일 KT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라면서 “첫 피해자가 8월 5일 발생했고 한달간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어 764건의 소액결제가 발생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4일 KT는 비정상적인 패턴이 발견됐다고 정부에 알렸고 10일 정보가 유출됐다고 신고했다”라고 덧붙였다. 황 의원의 말대로라면 KT는 해킹 사건을 축소하고 은폐한 것이다. 이에 대해 김영섭 KT 대표는 “최초에는 스미싱(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휴대 전화 해킹) 현상인 줄 알고 대응했으나 펨토셀에 의한 해킹으로 확인하고 조치하느라 지연된 것”이라고 답했다.

서버 폐기에 대해서도 과방위 위원들은 집중 추궁했다. 이주희(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7월 19일 해킹 침해 확인 요청을 보냈는데 이틀 후 KT가 자체 조사 후 관련 없다고 통보했다”라면서 “또 8월 8일 KISA에 해킹 침해 사실 없다고 최종 통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8월 1일부터 6일까지 6대의 서버를 왜 폐기한 것인가”라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폐기와 관련해 자세한 사안은 정확히 파악하지 않았다”라고 답했다. 이 의원은 “서버 폐기 결제 라인이 누구냐”라고 물었다. 김 대표는 “서버는 한 해에만 4000대 이상 폐기되고 그만큼 증설하기도 한다”라면서 “서버의 폐기는 팀장급 수준에서 전결한다”라고 답했다.
복제폰의 유무에 대한 의혹 제기도 있었다. 해커들이 가입자의 스마트폰에 접속해 까다로운 소액결제 절차를 뚫었다. 또 사건을 조사 중이지만 고객의 유심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이 두 가지 사안으로 미루어 보면 복제폰을 만들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아직 유심을 복제했다는 정보도 부족하고 IMEI(단말기고유식별번호)도 유출된 정황은 있으나 현재 상황으로는 한계가 있다”라면서 “7월 해킹과 소액결제 연관성을 확인 중이며 8월에 폐기된 한 대의 서버하고 상호 연관성 관계에 대해선 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문회에는 김 대표 외에도 윤종하 MBK파트너스부회장,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최정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unghochoi5591@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