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압박에 미국서 생산하면 소비자 가격 최대 3500달러(약 482만원) 가능성…아이브스 “환상에 가까운 생각”

24일(현지시각) USA투데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애플은 미국 내에서 제조되지 않은 아이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부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업계와 전문가들은 실제 관세 부과 여부, 생산 이전 가능성, 가격 인상폭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 애널리스트인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증권 기술리서치 총괄은 "현재 1199달러(약 165만원) 수준인 아이폰 가격이 관세를 반영하면 2300달러(약 316만원), 미국 내에서 생산할 경우 3500달러(약 482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글로벌 전략컨설팅업체 커니의 드루 드롱 지부장은 보다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관세 적용 시 100달러(약 13만원)에서 200달러(약 27만원)가량 오르는 수준이 더 현실적”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애플이 가장 걱정할 부분은 인도산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보다는 해외 생산 반도체에 대한 미국 내 조사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드롱 지부장은 또 “애플이 미국 내 생산을 본격화할 경우 에너지 비용, 숙련 인력의 공급, 세금 감면 및 규제 완화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현 정부는 4년 임기 내 실질적인 프로젝트 가동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애플은 내년 텍사스 휴스턴에 인공지능 서버 생산시설을 설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는 만만치 않다는 지적이다. 아이브스는 “아이폰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는 구상은 사실상 불가능한 환상에 가깝다”며 “5년에서 10년은 걸릴 것이고 생산 이전에 필요한 공급망 재편은 사실상 ‘헤라클레스급 과제’”라고 지적했다.
애플은 지난 몇 년간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미국 수출용 아이폰 생산 일부를 인도로 이전해왔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올해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아이폰을 인도에서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같은 전략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니콜라스 구겐버거 휴스턴대 법학과 교수는 “트럼프의 발언은 정책 발표라기보다는 정책 의도 표명에 가깝다”며 “대통령이 실제로 관세를 부과하려면 정식 행정명령과 세관 당국의 지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은 스마트폰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를 철회하는 것”이라며 “특정 국가를 지정해 인도산 스마트폰에만 관세를 부과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1기 행정부 시절에도 애플 CEO 팀 쿡으로부터 미국 내 스마트폰 공장 3곳을 설립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관련 공장이 세워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압박이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USA투데이는 “애플은 현재 미국에 5000억 달러(약 689조5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그 대부분은 인공지능 중심의 인프라에 집중돼 있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