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루이스트, 2월 이어 다시 뉴욕 주식시장 전망 하향…”덜 매력적”

트루이스트 공동 최고투자전략가(CIS) 키스 러너가 두 달 사이 두 차례에 걸쳐 뉴욕 주식 시장 추천 의견을 하향 조정했다고 배런스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트루이스트 공동 최고투자전략가(CIS) 키스 러너가 두 달 사이 두 차례에 걸쳐 뉴욕 주식 시장 추천 의견을 하향 조정했다고 배런스가 18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로이터

뉴욕 주식시장 전망이 또 다시 하향 조정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해임 방안을 계속 찾고 있다는 보도가 18일(현지시각)에도 지속된 가운데 시장 비관 전망이 강화됐다.

특히 이번에 전망을 낮춘 전문가는 지난 2월에 이어 불과 두 달 만에 또 다시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중립’ ‘덜 매력적’

두 달 동안 두 차례나 미 주식 추천등급을 낮춘 전문가는 트루이스트의 공동 최고투자전략가(CIS) 키스 러너이다.

18일 배런스에 따르면 러너는 미 주식 시장 추천의견을 ‘중립’에서 ‘덜 매력적’으로 다시 낮췄다.

앞서 2월에도 한 차례 추천의견을 ‘매력적’에서 ‘중립’으로 낮췄던 러너는 미 주식 시장이 그때보다 ‘덜 매력적’이 됐다고 판단했다.

대신 그는 연간 수익률이 4%가 넘는 현금성 자산을 보유할 것을 권고했다. 주식 시장이 다시 폭락하면 현금 보유가 훨씬 낫다는 것이다.
러너가 미 주식 시장 추천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던 때는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가 6144를 찍으며 사상 최고를 구가하던 때다.

주식 시장이 충분히 달아올랐다고 판단한 그는 당시 떨어질 일만 남았다고 평가했다. 상당수 전문가들이 추가 상승을 예상하던 것과 달랐다.

더 떨어진다


러너는 미 경제지표들이 둔화되기 시작한 데다 여전히 높은 금리로 인해 소비자들의 씀씀이가 제한되며 당시 임박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역시 주식 시장에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전망은 적중했다.

S&P500 지수는 고점 대비 약 14% 급락해 지금은 5300을 밑돈다.

러너는 그러나 여기서 끝이 아니라고 고객들에게 충고했다.

그는 S&P500 지수가 하강 정점에서 장중 4835까지 떨어졌다가 올랐다면서 저가 매수를 일단 접으라고 충고했다.

러너는 주식 시장이 여전히 고평가됐다고 보고 있다.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들의 주당순익(EPS) 전망치 평균을 기준으로 할 때 S&P500 지수 편입 기업들의 평균 주가수익배율(PER)은 19.2배로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러너는 팬데믹 당시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당시와 달리 지금은 고금리 상황인 데다 경기침체 위험 역시 고조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S&P500 지수 편입 기업들의 올해 EPS 전망치가 270달러에서 트럼프 관세 발표 직전 265달러로 떨어졌고, 앞으로 더 떨어질 것이라면서 안전띠를 바싹 잡아매라고 충고했다.

러너는 올해 미 경제 성장률이 현재 시장 예상대로 1%를 약간 넘는 수준에 그치면 기업들의 예상 매출 증가율은 한 자리 수 초반대로 떨어진다면서 이는 기업 마진을 압박하고, 이에 따라 EPS 전망치가 두 자리 수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차트 분석가들은 S&P500 지수 4800선을 지지선으로 보고 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