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수입 반도체 칩 관세 부과 예고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 긴장 고조

반도체 예외 조치 축소...국가 안보 명분 내세운 공급망 재편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투자 계획 차질-월가의 불안감 증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각)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가는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각)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로 가는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연설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반도체 칩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3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중 구체적인 관세율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특정 기업에 대해서는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중 무역 갈등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상호 관세 면제 조치가 유지되었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예외 조치가 축소되거나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에서 기자들에게 "우리는 반도체 칩을 포함한 핵심 제품들을 미국 내에서 생산하기를 원하며, 이를 위해 여러 기업들과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스마트폰 등 일부 제품의 면제 가능성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피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가 안보 명분... 반도체 공급망 재편 본격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 안보 무역 조사를 발표하며,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제품 공급망을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을 견제하고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엇갈리는 전망... 산업계 혼란 우려 확산


앞서 백악관은 높은 상호 관세에서 일부 기술 제품을 제외한다고 발표하며, 기술 산업계는 미중 갈등의 격화를 피하고 소비재 가격 안정화를 기대했다. 하지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중국의 핵심 기술 제품, 특히 반도체에 대해 별도의 새로운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혀, 산업계의 혼란을 가중시켰다.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 컴퓨터 등 일부 품목은 상호 관세에서는 제외되지만, 한두 달 안에 발표될 반도체 관세에는 포함될 것"이라고 말하며,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 내 생산을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관세 영향 평가...강경 대응 시사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25%로 인상하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호랑이 목에 방울을 단 사람만이 풀 수 있다"고 경고하며,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면밀한 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월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불안감 고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변화는 월가에 큰 변동성을 야기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10% 이상 하락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억만장자 투자자 빌 애크먼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90일 동안 중국에 대한 관세를 중단하고 10%로 일시적으로 인하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를 통해 미국 기업들이 혼란 없이 중국에서 공급망을 이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행보 비판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행보를 비판하며 정책의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스벤 헨리히 노스먼트레이더(NorthmanTrader) 대표는 "정부가 매일 메시지를 바꾸고 있어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엘리자베스 워런 미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혼란과 부패만 있을 뿐"이라고 비판하며, 경제학자들은 이번 조치가 경제 성장을 저해하고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중 무역 갈등 격화 가능성 고조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관세 부과 예고는 미중 무역 갈등이 더욱 격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양국 간 협상 과정에서 어떤 결과가 도출될지 주목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